기업에서 풍부한 현장 경험과 지식을 쌓은 퇴직 전문가를 중소기업이 필요한 시기에 프로젝트 계약을 맺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서비스가 등장했다.
평생교육 전문기업인 ㈜휴넷은 11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전문인력 플랫폼서비스사업인 ‘탤런트뱅크’의 출범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탤런트뱅크는 산업과 분야별 검증된 전문가를 기업의 요구 사항에 맞게 연결해 필요한 기간 동안 업무를 수행케하는 전문가 매칭플랫폼이다. 이런 플랫폼을 통한 인력운용은 기업의 일시적 수요나 시장환경 또는 고용여건에 따라 즉흥적으로 일하는 경제 방식인 ‘긱 경제(Gig Economy)’의 대표적 유형이기도 하다.
조영탁 휴넷 대표는 “퇴직 전문가들에게는 새로운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고 중견, 중소기업에는 채용 부담 없이 필요한 기간의 유연한 인력 운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차원에서 이런 서비스를 시작하게됐다”고 설명했다. 휴넷은 현재 탤랜트뱅크에 경영전략을 비롯해 구매·인사·재무·마케팅·정보기술(IT) 등 분야별 전문가 300여명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5천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들 전문가는 주로 대기업 간부와 중소기업 임원 출신들로 서류 전형과 대면 인터뷰 등 검증 절차를 거쳐 구성된다.
탤랜트뱅크에는 중소기업 임원 또는 대기업 간부 이상 경력자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며, 검정절차와 일정한 교육기간 등을 거치면 소속 전문가로 인정받게된다. 이들 전문가는 탤랜트뱅크에 의뢰가 들어온 기업 프로젝트나 업무 가운데 본인의 여유시간이나 거주지와의 거리 등에 비추어 조건에 맞는 곳을 선택해 일하고 비용도 스스로 책정할 수 있다. 조영탁 대표는 “해마다 30대 그룹에서 퇴직하는 임원급만 1천명 이상인데 이들의 노하우와 경험들이 퇴직과 함께 사라지고 있다. 반면에 중소기업은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시니어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는 있으나 비용부담 때문에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과 공유경제의 시대에는 비싼 전문가를 필요한 시간만큼 원하는 방법과 합리적인 비용으로 고용하는 ‘고급 인력의 공유경제 플랫폼’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