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이 가입한 협동조합은 10곳 가운데 6곳꼴로 남북 경제협력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전국의 지역·업종별 협동조합과 연합회 등 214곳을 상대로 지난 9월 13~15일 실시한 ‘중소기업협동조합의 남북경협 인식조사’ 결과, 남북경협 참여 의사를 묻는 질문에 ‘필요하다’가 56.5%로 ‘필요성이 낮다’(37.4%)는 응답보다 훨씬 높았다고 4일 밝혔다. 특히 가입 회원사 수와 평균 매출 규모가 큰 조합일수록 남북경협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남북경협에 참여한다면 진출 희망지역으로는 개성(48.1%), 평양(27.6%), 해주·남포(8.4%) 등 북한의 ‘서해 경제벨트’ 지역을 가장 많이 꼽았다. 또 선호하는 남북경협 방식으로 ‘개성공단과 유사한 북한 내 근로자 활용’(39.3%), ‘북한 인력을 활용한 위탁가공무역 협력’(28%) 등에 대한 응답률이 높아, 중소기업들이 임가공 제조·무역의 경쟁력 확보에 유리한 북한의 노동력에 대해 여전히 매력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 경협이 필요하고 실현 가능성도 높은 분야에 대한 질문에는 제조업(29.2%), 건설업(20.7%), 농어임업(12.2%), 광업(10.7%) 등의 차례로 응답률이 높았다.
남북경협의 위험(리스크)에 대해서는 협동조합 10곳 가운데 7곳 가량(67.8%)이 개성공단 폐쇄나 금강산 관광사업 중단과 같은 ‘불안정한 정치 상황’이라고 응답했으며, 이를 해소하는 방안으로는 ‘지속적인 교류를 통한 상호 신뢰회복’이 가장 중요하다는 응답이 18.7%로 가장 많았다. 이와 함께 남북경협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민간기구가 따로 필요하다는 응답도 57.9%로 높게 나타났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통상산업본부장은 “중소기업계의 남북경협 참가 의지는 높은 편이지만 정치적 리스크에 대한 부담도 여전하다”며 “3차 남북정상 회담의 후속 조처들이 차질없이 추진돼 지속적인 교류를 통한 상호신뢰 회복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중기중앙회는 3차 남북 정상회담의 성과와 남북관계 현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중소기업계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회를 오는 10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관에서 열 예정이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