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3400억여원을 투입해 스마트공장 4000개를 더 도입한다. 대·중소기업 상생을 강화하기 위해 ‘스마트 마이스터’ 사업도 도입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2일 ‘2019년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사업 공고’를 내고 올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에 3428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예산인 1330억원보다 2.5배 늘어난 것으로, 스마트공장은 정부가 2800개, 대기업 등 민간이 1200개를 건설해 총 4000개를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기부는 올해 스마트공장 보급 지원금을 늘리고 사업 추진 기간은 단축하겠다고 설명했다. 스마트공장을 새로 짓는 경우에는 1억원(기존 50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스마트공장을 지었지만 ‘레벨3’(중간1) 수준 이상으로 스마트공장을 고도화하는 경우엔 최대 1억5천만원(기존 1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중기부는 또 스마트공장을 빠르게 구축하거나 고도화하기 위해 기존에 5주가 소요되던 선정 기간을 2주로 줄이겠다고 밝혔다.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을 높인다는 취지에서 ‘스마트 마이스터’ 사업도 도입한다. 스마트 마이스터란 스마트공장을 도입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기술문제를 해결하고 대기업의 제조 노하우를 전수하는 인력으로, 대기업 퇴직인력 등을 스마트 마이스터로 선정해 3개월간 스마트공장에 파견하게 된다. 중기부는 “대기업이 스마트공장을 만들 때 멘토를 함께 지원해준 경우 성과가 높았다는 점에서 착안해 해당 사업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스마트공장 사업신청을 원하는 중소·중견기업은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it.smplatform.go.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로봇 활용 제조혁신지원’ 사업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홈페이지(www.kiria.org)에서 신청서류를 내려받아 제출하면 된다.
신민정 기자
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