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기업인들이 “정부가 개성공단 재개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달라”며 이낙연 국무총리와 조명균 통일부 장관의 면담을 요청하고 나섰다.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4일 입장문을 내어 △정부와의 긴밀한 협의를 위한 국무총리와 통일부 장관 긴급 면담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공단 방문 승인 △개성공단 기업인의 피해실태 조사 및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비대위는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게 너무나 아쉽고 침통하다”며 “그러나 남·북 정상의 개성공단 재개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음을 위안 삼아 우리 정부의 더 적극적인 재개 노력을 믿는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지난 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합의에 이루지 못하고 결렬되자 실망한 기색을 감추지 못했다. 결렬 소식이 전해지기 직전까지 “우려보다 (재개될 거란) 기대가 크다”는 반응을 내놨던 비대위는 결렬 뒤 “4일 회의를 열어 대응방침을 논의하겠다”며 말을 아낀 바 있다.
2016년 2월 개성공단이 폐쇄된 뒤 공장을 운영하던 입주기업들은 설비도 미처 챙기지 못한 채 공단을 떠났다. 개성공단 기업인들은 공장 설비 점검 등을 위해 수차례 방북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비대위와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해 4월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입주기업의 13.9%는 생산 중단으로 폐업 상황에 놓였으며 다른 기업들도 운영자금 부족, 거래처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신한용 비대위원장은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서 개성공단 재개 문제를 긴밀하게 협의해달라는 취지”라며 “그동안 피해지원도 수차례 말했으나 관철이 안 됐다. 개성공단 기업인 실태조사를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민정 기자
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