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가 소상공인 3명 중 1명이 최근 1년 안에 사업 전환이나 휴업, 폐업 등을 고려해본 적 있다는 조사 결과를 내놨다.
중기중앙회는 6일 도소매, 외식·숙박, 개인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회원사 5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3.6%가 ‘최근 1년 안에 사업 전환이나 휴·폐업을 고려한 적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나머지(66.4%)는 ‘고려한 적 없다’고 답했다. 폐업을 고려했다는 소상공인들은 ‘매수자 부재’(63.1%·복수응답), ‘폐업 뒤 생계유지 부담’(58.9%), ‘권리금 회수 어려움’(41.1%) 등의 이유로 폐업을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48.2%는 올해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다소 악화됐다고 답했다. 이어 ‘매우 악화됐다’(31.8%), ‘보통이다’(17.8%), ‘다소 호전됐다’(1.8%), ‘매우 호전됐다’(0.4%) 순서였다. 경영수지 악화의 주된 요인으로는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판매부진’(83.5%·복수응답)이 꼽혔다. 이어 ‘원가 상승’(27.8%), ‘경쟁 심화’(27.3%), ‘인건비 증가’(22.3%), ‘경상비용 부담 증가’(15.5%) 등이 경영난의 요인으로 언급됐다.
응답자 10명 중 6명은 향후 경영상황에 대해서도 비관했다. 응답자의 39.8%는 2분기 이후 경영상황을 ‘다소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고, ‘매우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도 19.8%였다. 나머지 34.0%는 ‘보통’ 수준으로 전망하는 가운데, 호전될 것이라는 전망은 6.4%에 그쳤다. 경영상황 악화를 전망한 응답자들은 호전 시점을 묻는 질문에 ‘호전 불가’(53.4%), ‘2022년 이후’(21.1%), ‘2021년 이후’(14.4%), ‘2020년 이내’(11.1%) 등으로 내다봤다.
조사 대상 소상공인 상당수는 일주일 가운데 영업일수가 6일(47.6%)이나 7일(30.8%)에 이르렀다. 일평균 11시간 영업한다는 응답도 40.4%에 달했다.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책으로는 ‘자금지원 확대 및 세 부담 완화’(51.8%), ‘대기업의 소상공인 영역 진출 제한’(25.2%), ‘물류, 상권환경 개선 등 인프라 지원’(16.6%) 등을 희망했다. 이들은 향후 정부의 관련 정책이 ‘지속적이고 체계적 정책 시행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38.0%), ‘대기업과 소상공인 사이 공정거래 기반 조성을 위한 규제와 감독 강화’(26.8%) 등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답했다.
현소은 기자
soni@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