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간펀드시황] 주식과 채권시장이 모두 강세를 보여, 주식형과 채권형 모두 기분 좋은 한 주였다. 주식시장에선 5년 만에 종합주가지수가 1000을 돌파했고, 채권시장은 월말 공급 공백 영향으로 국고채 3년물 금리가 4.04%까지 하락했으나, 전주 대비 0.02%포인트 상승으로 마감했다. 지난 4일 기준가로 주식형펀드의 한 주간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성장형(약관상 주식편입비 상한이 70% 초과)은 2.32%, 주식 비중이 이보다 낮은 안정성장형(41~70%)과 안정형(40% 이하)은 각각 0.90%, 0.59%를 올렸다. 중소형주의 약진으로 인덱스형은 2.18%를 거뒀고, 코스닥형은 2.03% 상승했다. 설정액이 100억원 이상이면서 운용기간이 한달 이상된 성장형펀드 94개 중 칸서스운용의 ‘칸서스하베스트적립주식1 클래식1호’가 주간 4.88%로 1위를 차지했다. 미래자산운용의 ‘미래에셋3억만들기인디펜던스주식’이 4.29%로 그 뒤를 이었고, 한투운용의 ‘거꾸로주식A-1호’는 3.70%로 4위를 차지했다. 채권형은 지난 주 금리가 소폭 상승했음에도 연율 6.81%로 양호한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연초 이후 채권금리 상승으로 인한 부진을 만회하기엔 역부족이었다. 설정액 100억원 이상이면서 운용기간이 한달 이상된 채권형 펀드 100개 중 케이비운용의 ‘장기주택마련채권1’과 ‘케이비 막강국공채적립투자신탁’이 각각 연 12.86%, 연 11.76%로 1, 2위를 차지했다. 한주간 연 9.56%로 5위를 차지한 맥쿼리운용의 ‘맥쿼리IMM프라임채권11호’는 연초 이후 금리 급등에도 수익률이 연 2.96%를 올려 눈길을 끈다. 지난 3일 현재 한 주간 총 수탁고는 4491억원 증가한 192조8268억으로 집계됐다. 머니마켓펀드(1조989억원), 주식형(2290억원), 채권혼합형(3713억원)은 증가한 반면, 주식혼합형(5094억원), 채권단기(8478억원), 채권장기(845억원)는 감소했다.
우현섭/제로인 펀드 애널리스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