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에서 최근 3~4년 간 호황장세가 이어졌으나 코스닥시장은 불법 머니게임장으로 전락하면서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부실한 한계기업들이 교묘하게 퇴출 기준을 피해가며 상장을 유지하는가 하면 코스닥 기업들이 대주주나 경영진의 사금고로 전락하면서 횡령과 불공정거래 등의 불법 사건들도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장 안팎에서는 코스닥 상장사 수가 1천개를 넘어선 상황에서 투자자 보호를 위해 퇴출 기준을 강화해 옥석을 가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과 증권선물거래소 등에 따르면 2004~2006년까지 3년 연속 적자를 낸 코스닥 상장사는 모두 142개사로 전체(2006년 말 기준 962개사)의 14.8%이며 이들이 3년 간 낸 순손실 규모는 총 3조8천835억원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04년 9천500억원 △2005년 1조2천억원 △2006년 1조6천억원 등으로 해가 갈수록 적자폭이 커졌다.
그러나 이들은 증자나 합병 등을 통한 자금확충으로 퇴출위기를 모면해 왔으며 이러한 자금확충 규모는 무려 4조원을 웃돈다.
3년 연속 적자 기업들의 시가총액은 2003년 말 2조8천억원 수준에서 2006년 말 6조5천억원대로 3조7천여억원 불어나는 데 그쳤다.
시가총액 증가분이 자금조달 규모에도 못미치고 있어 단순 계산해도 이 기업들의 주식을 산 투자자들의 손실은 3천억원을 웃도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상장사가 대주주나 경영진의 '사금고'로 전락하면서 횡령사건이 급증했다. 2004~2007년 4년 간 상장사의 횡령 사고 건수와 금액은 각각 109건, 9천906억원에 달했으며 이 중 코스닥 상장사가 90건, 7천146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코스닥 상장사의 횡령 사고는 △2004년 4건(60억원) △2005년 17건(1천24억원) △2006년 21건(1천395억원) △2007년 48건(4천667억원) 등으로 급증세를 나타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횡령사고 유형을 보면 대주주나 경영진의 자금횡령과 경영권 양도가 연계된 형태가 많이 늘어났다"며 "대주주나 경영진이 회사 자금을 빼돌린 뒤 제 3자배정 유상증자 등을 통해 경영권을 넘겨 책임을 떠넘기는 형식"이라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코스닥시장이 머니게임장으로 변질되면서 불공정거래도 만연되고 있다. 적년에 금감원에 적발된 주가조작 혐의 사건(64건) 중에서 코스닥관련 사건이 53건으로 전체의 82.8%를 차지했다. 코스닥시장에서 미공개정보 이용으로 적발된 사건도 42건으로 전체(57건)의 73.7%에 달했으며 연도별로는 △2005년 18건 △2006년 33건 △2007년 42건 등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투자자들이나 기업들 사이에서는 코스닥 소형주는 테마.작전주라는 인식이 강하다"며 "부실 기업들이 상장을 유지하면서 시장의 물을 흐리다 보니 불신이 팽배해졌고 좋은 코스닥 기업들이 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한계기업들이나 머니게임에 연루된 코스닥 기업은 과감하게 퇴출시키고 우량한 기업들만 상장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벤처 정신에 맞다"며 "거래소가 시장 진입과 퇴출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거나 기준을 더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선희 기자 indigo@yna.co.kr (서울=연합뉴스)
또 상장사가 대주주나 경영진의 '사금고'로 전락하면서 횡령사건이 급증했다. 2004~2007년 4년 간 상장사의 횡령 사고 건수와 금액은 각각 109건, 9천906억원에 달했으며 이 중 코스닥 상장사가 90건, 7천146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코스닥 상장사의 횡령 사고는 △2004년 4건(60억원) △2005년 17건(1천24억원) △2006년 21건(1천395억원) △2007년 48건(4천667억원) 등으로 급증세를 나타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횡령사고 유형을 보면 대주주나 경영진의 자금횡령과 경영권 양도가 연계된 형태가 많이 늘어났다"며 "대주주나 경영진이 회사 자금을 빼돌린 뒤 제 3자배정 유상증자 등을 통해 경영권을 넘겨 책임을 떠넘기는 형식"이라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코스닥시장이 머니게임장으로 변질되면서 불공정거래도 만연되고 있다. 적년에 금감원에 적발된 주가조작 혐의 사건(64건) 중에서 코스닥관련 사건이 53건으로 전체의 82.8%를 차지했다. 코스닥시장에서 미공개정보 이용으로 적발된 사건도 42건으로 전체(57건)의 73.7%에 달했으며 연도별로는 △2005년 18건 △2006년 33건 △2007년 42건 등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투자자들이나 기업들 사이에서는 코스닥 소형주는 테마.작전주라는 인식이 강하다"며 "부실 기업들이 상장을 유지하면서 시장의 물을 흐리다 보니 불신이 팽배해졌고 좋은 코스닥 기업들이 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한계기업들이나 머니게임에 연루된 코스닥 기업은 과감하게 퇴출시키고 우량한 기업들만 상장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벤처 정신에 맞다"며 "거래소가 시장 진입과 퇴출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거나 기준을 더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선희 기자 indigo@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