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니 “최악 지났다. 올해말 침체 종료”
나스닥은 7일째 상승세 지속
나스닥은 7일째 상승세 지속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경기침체가 올해말 끝날 것이라는 경제비관론자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의 깜짝발언의 영향으로 투자심리가 살아나면서 4일째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95.61포인트(1.11%) 오른 8.711.82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지수는 장중에는 100포인트 넘게 오르기도 했다.
나스닥 종합지수도 22.13포인트(1.19%) 뛴 1,885.03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8.06포인트(0.86%) 오른 940.74를 기록했다. 특히 나스닥지수는 7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날 증시는 초반부터 혼조세를 거듭했다. JP모건체이스가 예상보다 좋은 실적을 내고 실업사태도 개선되는 지표가 나온 반면 지난 사흘간의 증시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과 CIT그룹에 대한 미 정부의 지원협상 결렬로 파산 가능성이 고조된 것이 증시의 발목을 잡았다.
그러나 오후 들어 올해말 미국의 경기침체가 종료될 것이라는 루비니 교수의 발언이 전해지면서 증시는 본격 상승세로 돌아섰다.
루비니 교수는 이날 뉴욕에서 열린 한 회의에서 미국의 경기침체가 올해말에 종료될 것이라면서 최악의 위기 상황은 지났지만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추가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표적 비관론자로 경제전망을 늘 어둡게 평가해왔던 루비니 교수의 이런 발언은 투자자들에게 경기회복이 가까웠음을 확신하게 해주는 요인으로 작용해 투자심리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했다. 이날 JP모건의 2분기 실적도 골드만삭스에 이어 호조를 이어갔다. JP모건의 순익은 27억2천만달러로 작년 동기대비 36%, 전 분기 대비 27%가 각각 증가했다. 미 노동부가 밝힌 미국의 신규 실업자수는 3주 연속으로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내 실업사태도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미국의 지난주(7월6∼11일) 신규 실업수당 신청자수는 한주전보다 4만7천명이 줄어든 52만2천명으로 집계돼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브리핑닷컴이 예상했던 55만3천명을 훨씬 밑돌았다. 지난주 신규 실업자수는 올해 1월 첫주의 48만8천명 이후 6개월만에 최저 수준이다. 반면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이 이날 내놓은 7월 필라델피아지역 제조업지수는 -7.5를 기록해 전달의 -2.2보다 나빠져 제조업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를 약화시켰다. 김현준 특파원 june@yna.co.kr (뉴욕=연합뉴스)
대표적 비관론자로 경제전망을 늘 어둡게 평가해왔던 루비니 교수의 이런 발언은 투자자들에게 경기회복이 가까웠음을 확신하게 해주는 요인으로 작용해 투자심리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했다. 이날 JP모건의 2분기 실적도 골드만삭스에 이어 호조를 이어갔다. JP모건의 순익은 27억2천만달러로 작년 동기대비 36%, 전 분기 대비 27%가 각각 증가했다. 미 노동부가 밝힌 미국의 신규 실업자수는 3주 연속으로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내 실업사태도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미국의 지난주(7월6∼11일) 신규 실업수당 신청자수는 한주전보다 4만7천명이 줄어든 52만2천명으로 집계돼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브리핑닷컴이 예상했던 55만3천명을 훨씬 밑돌았다. 지난주 신규 실업자수는 올해 1월 첫주의 48만8천명 이후 6개월만에 최저 수준이다. 반면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이 이날 내놓은 7월 필라델피아지역 제조업지수는 -7.5를 기록해 전달의 -2.2보다 나빠져 제조업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를 약화시켰다. 김현준 특파원 june@yna.co.kr (뉴욕=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