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토중인 공공기관 채용 방식 개선안
외국어·학점비중 낮추고 전공시험·적성·면접 비중 높여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을 비롯한 100여개 공공기관의 채용에서 공인 외국어시험 성적과 대학 학점 등의 비중을 낮추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또 중복 합격으로 다른 사람이 탈락하는 피해를 보는 것을 막기 위해 비슷한 유형의 공공기관들은 채용을 동시에 진행하도록 하고, 사회 선행자와 저소득층 등의 채용을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기획예산처는 19일 취업 준비생들의 공공기관 입사 기회 확대와 각 기관 특성에 맞는 인재 선발을 위해 공공기관의 채용 방식 개선을 검토하고 있으며, 4~5월께 개선안을 확정해 공공기관에 내려보낼 방침이라고 밝혔다.
4~5월께 개선안 확정 방침
채용시기 맞춰 중복탈락 막고
사회 선행자 채용권장 확대 기획처는 공기업들이 어학 성적이나 대학 학점을 지나치게 중시하는 것이 각 기관 특성에 맞는 인재를 뽑는 데 걸림돌이 된다고 보고, 이런 성적들이 최종 합격 여부의 결정적인 기준이 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미 일부 공공기관들은 이런 방안을 실행중이다. 한국토지공사의 경우 지난해까지는 어학 점수가 높으면 최종 합격에 유리했으나, 올해 초 전형에서는 서류 전형의 기준으로만 활용했다. 기획처는 어학·학점의 비중을 낮추는 대신 해당 공공기관의 업무에 필요한 능력과 적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직무능력검사 모델을 개발해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공공기관들이 모두 이 모델을 개발하는 것은 쉽지 않은 만큼 비슷한 특성을 갖고 있는 공공기관들을 묶어 공동 모델을 만들 계획이다. 한상록 기획처 공공기관혁신지원팀장은 “전공시험이나 적성, 면접 점수 등의 비중을 높여 각 기관의 특성에 맞는 자질을 갖춘 인재를 뽑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기획처는 또 비슷한 유형의 공공기관들의 전형을 동시에 진행시켜 중복 합격의 가능성을 낮추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현재 공공기관들은 채용 시기가 부정기적인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다 정시 모집을 하는 대형 기관들도 모집 시기가 상반기, 하반기, 12월로 달랐다. 이에 따라 한 공공기관의 입사시험에 합격한 사람이 2~3개의 다른 공공기관에도 합격해 다른 지원자들에게 피해를 주고 해당 공공기관은 다시 전형을 밟아야 하는 비효율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기획처는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높이기 위해 지난 2005년 공공기관에 여성·장애인·지방대생의 채용을 권장한 데 이어, 저소득층이나 선행자, 의로운 일을 하다 다친 사람 등의 채용을 추가로 권장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한 팀장은 “이 방안은 공공기관들에 대한 권장 사항이며 강제 조항은 아니다”며 “기관별 특성에 따라 제도를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채용시기 맞춰 중복탈락 막고
사회 선행자 채용권장 확대 기획처는 공기업들이 어학 성적이나 대학 학점을 지나치게 중시하는 것이 각 기관 특성에 맞는 인재를 뽑는 데 걸림돌이 된다고 보고, 이런 성적들이 최종 합격 여부의 결정적인 기준이 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미 일부 공공기관들은 이런 방안을 실행중이다. 한국토지공사의 경우 지난해까지는 어학 점수가 높으면 최종 합격에 유리했으나, 올해 초 전형에서는 서류 전형의 기준으로만 활용했다. 기획처는 어학·학점의 비중을 낮추는 대신 해당 공공기관의 업무에 필요한 능력과 적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직무능력검사 모델을 개발해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공공기관들이 모두 이 모델을 개발하는 것은 쉽지 않은 만큼 비슷한 특성을 갖고 있는 공공기관들을 묶어 공동 모델을 만들 계획이다. 한상록 기획처 공공기관혁신지원팀장은 “전공시험이나 적성, 면접 점수 등의 비중을 높여 각 기관의 특성에 맞는 자질을 갖춘 인재를 뽑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기획처는 또 비슷한 유형의 공공기관들의 전형을 동시에 진행시켜 중복 합격의 가능성을 낮추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현재 공공기관들은 채용 시기가 부정기적인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다 정시 모집을 하는 대형 기관들도 모집 시기가 상반기, 하반기, 12월로 달랐다. 이에 따라 한 공공기관의 입사시험에 합격한 사람이 2~3개의 다른 공공기관에도 합격해 다른 지원자들에게 피해를 주고 해당 공공기관은 다시 전형을 밟아야 하는 비효율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기획처는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높이기 위해 지난 2005년 공공기관에 여성·장애인·지방대생의 채용을 권장한 데 이어, 저소득층이나 선행자, 의로운 일을 하다 다친 사람 등의 채용을 추가로 권장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한 팀장은 “이 방안은 공공기관들에 대한 권장 사항이며 강제 조항은 아니다”며 “기관별 특성에 따라 제도를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