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취업자 수 증가폭이 18만4천명 증가에 그쳐 3년1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3월 취업자 수는 2천330만5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8만4천명(0.8%) 증가했다. 이같은 증가폭은 2005년 2월의 8만명 이후 37개월만에 가장 적다.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수는 지난해 8월 29만3천명을 기록하면서 30만명대 아래로 내려선 이후 7개월째 20만명대에 머물렀으며 3월에는 10만명대로 추락했다.
산업별로는 농림어업(-5만8천명)과 도소매.음식숙박업(-4만4천명), 건설업(-3만5천명), 제조업(-2만명) 등에서 일자리가 감소했고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32만1천명)과 전기.운수.통신.금융업(1만9천명)은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20~29세(-8만7천명)와 30~39세(-9천명)에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감소했고 나머지 연령대는 모두 증가했다.
임금근로자는 1천599만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6만2천명(1.7%) 증가에 그쳤고 비임금근로자는 731만1천명으로 7만9천명 감소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46만6천명)는 늘어난 반면 임시근로자(-16만5천명), 일용근로자(-3만9천명)는 줄었다. 취업자 수 증가폭이 감소함에 따라 고용율은 59.1%로 전년동월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실업률은 3.4%로 전년동월대비 0.1%포인트 낮아졌지만 청년층 실업률은 7.6%로 전년동월에 비해 0.1%포인트 상승했다. 경제활동인구는 2천411만4천명으로 전년동월에 비해 15만4천명(0.6%) 증가했으나 경제활동참가율은 61.1%로 전년동월에 비해 0.3%포인트 하락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535만명으로 전년동월에 비해 26만6천명(1.8%) 늘었고 이중 연로(7만1천명)와 가사(6만4천명), 육아(5만4천명), 쉬었음(4만7천명), 통학(4만6천명) 등은 늘었고 심신장애(-1만5천명)은 감소했다. 아울러 계절조정 취업자는 2천354만명으로 전월에 비해 2만3천명 줄었고 계절조정 실업률은 3.1%로 전월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김진규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기본적으로 인구 증가율에 비해 취업자 증가율이 낮고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율은 높아 고용사정이 좋지 않은 모습"이라며 "임시.일용직의 감소는 경기적 영향에 따라 고용사정이 안좋아지면서 먼저 일자리를 잃은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46만6천명)는 늘어난 반면 임시근로자(-16만5천명), 일용근로자(-3만9천명)는 줄었다. 취업자 수 증가폭이 감소함에 따라 고용율은 59.1%로 전년동월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실업률은 3.4%로 전년동월대비 0.1%포인트 낮아졌지만 청년층 실업률은 7.6%로 전년동월에 비해 0.1%포인트 상승했다. 경제활동인구는 2천411만4천명으로 전년동월에 비해 15만4천명(0.6%) 증가했으나 경제활동참가율은 61.1%로 전년동월에 비해 0.3%포인트 하락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535만명으로 전년동월에 비해 26만6천명(1.8%) 늘었고 이중 연로(7만1천명)와 가사(6만4천명), 육아(5만4천명), 쉬었음(4만7천명), 통학(4만6천명) 등은 늘었고 심신장애(-1만5천명)은 감소했다. 아울러 계절조정 취업자는 2천354만명으로 전월에 비해 2만3천명 줄었고 계절조정 실업률은 3.1%로 전월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김진규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기본적으로 인구 증가율에 비해 취업자 증가율이 낮고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율은 높아 고용사정이 좋지 않은 모습"이라며 "임시.일용직의 감소는 경기적 영향에 따라 고용사정이 안좋아지면서 먼저 일자리를 잃은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