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정부에 확충 건의
총 4곳뿐…여성 퇴직률 높아
총 4곳뿐…여성 퇴직률 높아
서울 구로구 디지털산업단지내 한 업체에서 7년간 전자제어시스템 설계 업무를 담당해오던 김아무개(39)씨는 지난해 직장에 사표를 냈다. 첫아이는 회사 지원을 받아 집에서 가까운 어린이집에 맡겼지만, 둘째가 태어나면서 문제가 생겼다. 아이를 산업단지내 보육시설에 맡기려고 해도 시설이 턱없이 모자라 1년 이상이나 기다려야 했기 때문이다. 김씨는 “계속 일하고 싶고 회사도 퇴사를 말렸지만 대안이 없었다”고 말했다.
지식산업센터(옛 아파트형공장)에 입주한 한 기계설비업체는 20~30대 여성직원들이 아이를 낳은 뒤 줄줄이 퇴직하는 문제로 골머리를 앓았다. 회사 쪽은 단지내 다른 기업과 공동으로 보육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보육원 수용아동 3분의 1 이상을 해당기업 직원의 자녀로 채워야 한다는 기준 때문에 중간에 포기해야 했다. 회사 관계자는 “퇴직자가 생기면 재교육, 재취업 등에 비용이 많이 든다”며 “보육시설 설치기준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대한상공회의소는 4일 ‘산업단지 보육시설 확충을 위한 정책과제’ 건의서를 보건복지부 등에 냈다고 밝혔다. 상의 조사 결과, 전국 23개 국가산업단지내 근로자는 우리나라 전체 제조업 고용의 20%나 되지만 정작 관내 보육시설은 16곳으로 국내 전체 보육시설(3만5550곳)의 0.05%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서울 디지털산업단지의 경우 1만여개의 기업에서 10만여명이 일하고 있지만, 보육시설은 단 2곳뿐이다.
상의는 보육시설 부족에 따른 문제점으로 기업이 유능한 인재를 확보하기 어려운데다 경험 많은 근로자도 중간에 일을 그만두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이와 관련해 상의는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과 중소기업 보육시설 지원뿐 아니라 민간 보육시설 분양가 인하 등 10대 정책과제를 해법으로 제시했다. 스웨덴의 경우 국공립 보육시설 이용 비율이 46%에 이른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