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에 대한 미국 안 분위기는 그리 밝지 않다. 비관적 분석이 우세하지만, ‘그래도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게 나온다.
<뉴욕타임스>는 14일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지금 한-미의 이견은 “동해만큼이나 넓은 상태”이며,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할 때까지 가능한 모든 금융제재를 통해 북한을 쥐어짜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백악관 참모들의 말을 빌려 “과거 정상회담에서 부시 대통령은 이견을 감추려 최선을 다했지만, 최근 몇달간 (한-미의 이견은) 너무 커져 동해만큼이나 벌어졌고 감추는 게 거의 불가능해졌다”고 전했다.
신문은 “(노 대통령의 방미 전까지) 부시 참모들은 몇주 동안 새로운 유엔 안보리 결의를 활용해 북한과의 관계를 끊도록 압력을 넣을 은행 명단을 준비해왔다”고 밝혀, 미국이 곧 추가적인 대북 금융제재를 발표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신문은 또 지난 6월 워싱턴을 방문해 환대를 받았던 고이즈미 일본 총리와 노무현 대통령을 비교하며 “아시아에서 미국의 또다른 주요한 동맹국 지도자인 노 대통령은 단지 백악관 집무실에서의 한시간 만남과 짧은 오찬 대접을 받았을 뿐이다. 부시는 노 대통령에 정중하지만 거리를 두고 있다”고 전했다.
존 아이컨베리 프린스턴대 교수와 미첼 라이스 전 국무부 정책기획실장은 13일치 <로스앤젤레스타임스> 기고문에서 “한-미 동맹의 가치가 북한을 어떻게 취급하느냐에 대한 이견보다 훨씬 중요하다. 전통적으로 두 나라는 공동의 위협, 가치, 이익 아래 동맹을 맺었으며 아직도 미래 협력을 강화할 이유는 얼마든지 있다”고 한-미 동맹 강화를 촉구했다.
두 한반도 전문가는 ‘서울을 잃을까?’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미국으로선 한국과의 파트너십이 미-일 동맹 이외에 동아시아에서의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맹 강화는) 어느 한나라의 힘만으로는 불가능하다. 두 나라 정상은 동맹 관계를 소생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찬수 기자 pcs@hani.co.kr,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