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평화회의 개최…‘팔 문제 해결 집착’ 분석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북핵 6자 회담에 이어 중동에서도 외교적 ‘유산’ 남기기에 나섰다.
부시 대통령은 16일 팔레스타인 문제를 진전시키기 위해 올 하반기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일부 아랍국들이 참가하는 중동평화국제회의를 개최하겠다고 발표했다.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이 회의를 주재한다.
부시 대통령은 최근 중요한 외교 파트너였던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를 팔레스타인 문제를 다룰 중동평화 특사로 적극 미는 등 팔레스타인 문제를 직접 챙기겠다는 의도를 분명히하고 있다. 이라크 점령으로 중동 전역에서 반미감정이 고조되고 임기가 18개월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50년 넘게 중동문제의 진원지였던 팔레스타인 문제에서 성과를 내야 한다는 절박함을 느끼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슬람주의 단체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 지구와 친서방 온건파인 마무드 아바스 수반이 통치하는 요르단강 서안으로 분열된 팔레스타인에서, 마무드 아바스 수반의 친서방 세력을 중심으로 독립국가를 건설해 이스라엘과 평화협상을 체결하는 시나리오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팔레스타인인들이 아바스 자치정부 수반을 지지해 독립국가를 세우거나, 하마스의 극단주의를 선택해 독립 가능성을 망치는 것 가운데 선택해야 하는 순간”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또 아바스 수반의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1억9천만달러를 추가로 원조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의 제안은 ‘최악의 타이밍’에서 나왔다.
<비비시>(BBC) 방송은 이스라엘과 서방이 아바스를 포용할수록, 아바스가 서방의 이익을 위해 움직인다는 의구심이 커져 정치적 기반이 극히 취약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바스 수반이 서방의 지원을 받는 독립국가를 세우더라도 이스라엘에 더 많은 땅과 주요 수자원 등을 내놓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회의적 전망이 이어진다. 이스라엘 역시 일부 점령지와 분리장벽 문제 등을 양보해야 할 평화협상을 급진전시키는 것을 꺼린다.
선거로 정권을 잡았던 하마스를 고립시키며 밀어붙이는 이번 ‘반쪽 협상’이 팔레스타인의 민심을 얻을 수 있을지도 회의적이다. 시블리 텔하미 메릴랜드대 교수는 <로이터> 통신에 “하마스를 고립시키려는 전략이 계속되는 한 외교적 성과가 나올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