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증명 논란 등 선거행정 문제점 여전
이번 미국 대선에선 유권자 자격과 득표 집계를 놓고도 역대 어느 선거보다도 팽팽한 신경전이 벌어질 전망이다. 투표 절차와 선거 시스템이 복잡한데다 투표 참가자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미국 여론조사기관인 퓨리서치센터는 이번 대선에서 투표를 둘러싸고 등록유권자 수, 신규등록 유권자, 선거관리요원의 부족 등으로 엄청난 소요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2000년 미국 대선에선 투표용지의 천공 부스러기 무효표 논란과 플로리다주의 부정선거 시비가 불거졌고, 2004년 대선 당시 오하이오주에선 줄을 선 유권자들이 투표하기까지 8시간이나 기다려야 했다.
영국 <비비시>(BBC) 방송은 3일 미국 유권자들이 겪을 수 있는 ‘대혼란’ 가능성을 집중 분석하고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지적했다. △전례 없이 많은 투표 참가자 △처음 투표하는 유권자들의 혼란과 그에 따른 투표 지연 △유권자 등록 시비 또는 본인증명 논란 △투표기계 및 선거관리당국의 경험 미숙 △투표자 폭증에 따른 선거용지 부족 △주택 압류로 주소지가 달라진 유권자들에 대한 투표권 거부 등이 투표부정 시비를 낳을 수 있는 대표적 유형들이다.
미국의 비영리 정치연구단체인 센츄리재단과 행정개혁 시민단체인 코먼코즈는 최근 경합주 10곳에 대한 조사보고서에서, 미국의 선거행정 시스템의 기본 기능의 심각한 문제점들이 여전하며, 일부는 더 악화된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벌써 법적 다툼도 시작됐다. 경합지역인 오하이오주의 공화당 지구당은 지난달 운전면허번호나 사회보장번호가 유권자등록과 일치하지 않는 신규 유권자 명부 열람을 요청했다. 이에 맞서, 민주당원인 제니퍼 브러너 오하이오주 국무장관은 그런 사례의 대부분이 ‘선거 부정’이 아니라 사무착오라고 주장했다. 주 대법원은 민주당의 손을 들어주었다. 이후 브러너의 사무실에는 우파의 라디오 토크쇼에 선동된 협박 이메일과 전화가 빗발쳤다.
민주·공화 양당은 유권자 증명, 투표기계 오작동, 득표 집계 등을 둘러싼 논란 등에 대비해 대규모 변호인단을 구성하고 미국 전역의 투표소에 감시팀을 파견했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