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7600대 구입 지시
미 자동차업계 ‘단비’
미 자동차업계 ‘단비’
‘관용차는 메이드인 유에스에이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9일 조달본부에 오는 6월1일까지 미국산 자동차 1만7600대를 구입하라고 지시했다. 이 계획엔 약 2억8500만달러(약 3800억원)의 예산이 든다. 미국산으로의 관용차 교체는 생사의 갈림길에 선 제너럴모터스(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미국 자동차 3사엔 단비같은 소식이다.
2500대의 하이브리드 차를 비롯해 연료 효율성을 높인 새 관용 차량들은 연간 130만갤런(491만ℓ)의 휘발유를 절약할 수 있을 전망이라고 <워싱턴포스트>가 10일 전했다. 오바마는 성명에서 “이런 움직임은 경제 활성화와 자동차 업계 지원, 에너지 효율성 증진 달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일석삼조를 노린 셈이다.
지원은 잇따를 전망이다. 오바마는 “이번은 단지 첫 조처일 뿐”이라며 “미국 자동차 업계가 어려운 구조조정을 겪는 동안 계속해서 지원해줄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블룸버그뉴스>가 전했다.
앞서 재무부는 8일 자동차 부품 업체들에 50억달러를 지원했다. 오바마는 또 중고차를 버리고 새 차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을 지원하는 법률안을 통과시켜 달라고 의회에 협력을 요청한 상태다. 백악관은 2012년까지 관내 모든 차량을 전기 자동차로 바꿀 계획이다. 총무청은 미국 자동차 3사가 전기차, 가스차 등 친환경 자동차를 개발할 수 있도록 올해에만 150억달러를 지원한다.
한때 연간 1600만대에 달했던 미국 자동차 판매량이 올 1천만대를 밑돌 전망인 가운데, 자동차 업체들의 명운은 거의 전적으로 정부 지원에 달렸다. 정부에서 이미 174억달러의 구제금융을 받은 지엠과 크라이슬러는 앞으로 30~60일 안으로 적극적 자구책을 마련할 경우 추가 구제금융을 받아낼 수 있다.
한편에선 보호무역주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올 전망이다. 7870억달러의 경기부양법에 포함된 ‘바이 아메리칸’(미국산 구매) 조항에 이어, 정부 물품을 자국산으로만 조달하는 이번 조처도 외부 경쟁자들에겐 ‘불공정’한 게임인 탓이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