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개중 16개 핵심보직 인선 지연
백악관 검증작업 이례적 장기화탓
케리 “아직도 검증…” 불만 토로
WP “백악관 인사 통제 의도” 분석
백악관 검증작업 이례적 장기화탓
케리 “아직도 검증…” 불만 토로
WP “백악관 인사 통제 의도” 분석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장관직을 맡은 지 4개월째에 들어섰지만, 국무부 주요 보좌진의 선임이 늦어져 논란이 일고 있다.
케리 장관은 올해 2월6일 취임한 이후 중동 지역을 세차례 방문하는 등 짧은 기간 19개국이나 방문하며 왕성한 활동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가 국외에서 직접 부딪치고 있는 외교 현안들도 중동 평화협상, 시리아 사태, 북한 핵문제 등 모두가 난마처럼 얽힌 문제들이다. 그러나 정작 미국 국무부로 돌아오면 답답해진다. 자신의 이런 활동을 뒷받침해줄 고위 보좌진이 선임되지 않아 일 추진이 뜻대로 되지 않는 탓이다.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등 유력지들은 최근 잇따라 국무부 고위직들의 공석 사태를 문제삼고 나섰다. 현재 국무부 고위직 59개 가운데 16개가 공석이거나 대행 체제다. 그것도 각 지역을 맡는 핵심 자리들인 동아시아·태평양, 아프리카, 유럽, 중동 등 4개 지역 담당 차관보 자리가 비어 있다. 또 무기통제·국제안보 담당 차관과 정치·군사문제 차관보, 외교안보 차관보, 대테러 조정관 등도 공석이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자 일부에선 케리 장관이 ‘원맨쇼’를 하고 있다는 냉소도 나오고 있다.
이쯤 되면 케리 장관이 불만을 토로할 만도 하다. 케리 장관은 지난달 의회 청문회에서 “내가 처한 가장 큰 난관은 검증 절차다. 2월에 국무부에 들어오면서 몇몇 인사를 선택했는데 아직도 검증 작업이 진행되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검증 작업은 지명자를 의회에 통보하기 전에 백악관이 총괄한다.
<워싱턴포스트>는 조지 부시 2기 행정부 및 오바마 1기 행정부 때와 비교해봐도 국무부의 현재 인선 작업은 이례적일 정도로 늦다고 비판했다. 고위직 인선이 지연되자 국무부 내부에선 백악관에 대한 케리 장관의 영향력과 케리 장관이 추진하는 정책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이런 상황은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때와 매우 대조적이다. 오바마 대통령의 대선 경쟁자였던 클린턴 전 장관은 오바마의 ‘간청’으로 장관직을 맡았다. 그래서 국무부 인사권에서 많은 자율성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케리 장관은 오바마가 ‘1순위’로 내세운 수전 라이스 유엔대사가 낙마하며 장관직에 오른 경우다. 케리 장관은 외교 역량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본인의 강력한 희망이 많이 반영됐다. 그래서인지 백악관은 이번 국무부 인선에 매우 깊숙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 선임된 젠 사키 대변인과 머리 하프 부대변인은 백악관에서 근무했거나 오바마 재선 캠프에서 일한 오바마 인맥이다. 국무부 대변인실을 백악관이 장악한 셈이다. 요직인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 자리도 백악관이 미는 대니얼 러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으로 사실상 굳어졌다.
<워싱턴포스트>는 “국무부 고위직 인선 지연은 힐러리 전 장관이 떠난 이후 백악관이 국무부에 대한 통제를 확장하려 한다는 인식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남양유업 ‘욕설 우유’ 파문 일파만파
■ 김한길의 아버지, 문성근의 아버지
■ 안신애, 패션도 실력도 ‘나이스샷’
■ 이한구 대표가 말한 ‘민주당내 탈레반’은 누구?
■ [단독] ‘각서 쓰고 또 성추행’ 충남대 로스쿨 교수 해임
■ 남양유업 ‘욕설 우유’ 파문 일파만파
■ 김한길의 아버지, 문성근의 아버지
■ 안신애, 패션도 실력도 ‘나이스샷’
■ 이한구 대표가 말한 ‘민주당내 탈레반’은 누구?
■ [단독] ‘각서 쓰고 또 성추행’ 충남대 로스쿨 교수 해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