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C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 출신
오바마-케리 힘겨루기 백악관 승
한반도·대북정책 기조변화 없을듯
오바마-케리 힘겨루기 백악관 승
한반도·대북정책 기조변화 없을듯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5일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에 대니얼 러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을 공식 지명했다. 오바마 2기의 한반도 정책 기조가 1기 때와 비슷하게 갈 것임을 예고하는 인선이다.
러셀 지명자는 1992~1995년 주한 미국대사관에서 근무하며 북한 문제를 다뤘으며, 2005~2008년에는 일본 오사카와 고베 주재 미국 총영사로 일하는 등 한국과 일본 업무를 오랫동안 맡아왔다. 그는 2008년에 국무부 일본과장을 맡아 국무부에서는 ‘일본통’으로 불린다.
이번 인선은 외교정책을 둘러싼 백악관(오바마 대통령)과 국무부(존 케리 국무장관)의 힘겨루기에서 백악관이 ‘완승’을 했음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국무부 차관보 자리는 국무장관의 몫이었으나, 이번엔 백악관이 러셀을 강하게 민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동아시아와 관련한 굵직한 현안이 산적한 상황이었는데도 지명이 늦어진 건 케리 장관이 ‘무언의 저항’을 했기 때문이라는 얘기도 있다.
러셀 지명자는 오바마 1기 행정부 초기부터 한반도 정책을 맡아왔다. 그는 2009년부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에서 한국·일본 담당 보좌관으로 일하다 2011년 6월 아시아 정책을 총괄하는 선임보좌관으로 승진했다. 이른바 ‘도발엔 보상 없다’, ‘전략적 인내’ 등으로 대표되는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을 백악관에서 실무적으로 책임져 왔다고 볼 수 있다.
러셀 지명자는 지난 6일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기자들에게 “미국의 대북정책은 ‘점진적 관여’(incremental engagement)가 될 것”이라며, “이는 북한이 올바른 결정을 하고 비핵화에 관한 국제 의무와 그들의 약속을 준수하는 조처를 취한다면 북한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한편에선, 러셀 지명자가 일본통이라는 점에서 미국이 동아시아 전략의 틀을 짤 때 일본을 중심에 둘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 대통령 “한길 사람 속 모른다더니…” 윤창중에 인간적 배신감 토로
■ 종편 ‘5·18 북한 개입’ 보도는 “전두환 주장 되풀이”
■ 죽음 부르는 ‘진드기’ 정체와 대처법은
■ 의자를 껴안고 뛰어내리세요ㅣ알래스카 항공여행
■ [화보] 용산 미군 기지에 웬 일본군 기념비가…
■ 박 대통령 “한길 사람 속 모른다더니…” 윤창중에 인간적 배신감 토로
■ 종편 ‘5·18 북한 개입’ 보도는 “전두환 주장 되풀이”
■ 죽음 부르는 ‘진드기’ 정체와 대처법은
■ 의자를 껴안고 뛰어내리세요ㅣ알래스카 항공여행
■ [화보] 용산 미군 기지에 웬 일본군 기념비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