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330만대 목표
관련시설 확대·법규정비키로
관련시설 확대·법규정비키로
캘리포니아·뉴욕 등 미국 8개 주정부가 전기차 등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 자동차 보급 대수를 2025년까지 330만대로 늘리기로 했다.
<뉴욕타임스> 등의 보도를 종합하면, 이번 합의에는 캘리포니아와 오리건 등 서부 2개 주와 뉴욕·매사추세츠·메릴랜드·코네티컷·로드아일랜드·버몬트 등 북동부 6개 주가 참여했다. 이들 주 대표단은 24일(현지시각)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에 모여 △전기차 충전소 등 청정 자동차 관련 기반시설 확대 △청정 자동차 사용 확대를 위한 교통·건축법 등 관련 법규 정비 등을 뼈대로 한 양해각서에 합의했다. 이들 8개 주는 미국 자동차 시장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이밖에 △충전소 지불수단 단일화 △충전기 설치 관련 규정 간소화 △일정 규모 이상의 직장과 다가구 주택 등에 대한 충전소 설치 의무화 등 구체적인 내용도 합의안에 포함됐다. <에이피>(AP) 통신은 “양해각서에 합의한 8개 주는 이미 신규 등록 차량 가운데 청정차량 비율을 점진적으로 늘리려는 주정부 차원의 규정을 두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테면, 캘리포니아주는 청정 자동차 비율을 2025년까지 전체 등록 차량의 15.4%(약 150만대)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청정 자동차 구매자에겐 최대 2500달러를 환급해주고, △다인승 차량 전용차로 주행 허용 △유료 고속도로 무료 주행 등 다양한 지원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올 상반기에만 캘리포니아주에서 청정차가 3만3000여대나 팔린 것도 이 덕분이라는 평가가 많다. 그럼에도 현재 캘리포니아주의 청정차 비율은 전체의 2%를 밑돈다.
현재 미국에선 △전기차 △수소 연료차 △플러그인 방식 하이브리드차 등 8개 업체가 내놓은 청정 자동차 16개 모델이 시판되고 있다. 애초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청정차 보급 목표를 2015년까지 100만대로 잡아놨지만, 업계에선 그 5분의 1에 불과한 20만대에 그치리라고 전망한다.
<에이피>는 “충전소를 비롯한 편익시설망 확충으로 ‘차가 언제 멈춰설지 모른다’는 운전자의 불안감이 사라지지 않는 한 보급 대수를 큰 폭으로 늘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