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미 관료들 발언 인용 보도
“위안부 문제 해결 촉구하기도”
“위안부 문제 해결 촉구하기도”
미국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야스쿠니신사를 더이상 참배하지 않겠다는 확약을 요구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24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복수의 미국 정부 관계자의 말을 따 “미국은 아베 총리가 주변국을 자극할 수 있는 말과 행동을 더이상 하지 않겠다는 보장을 해주기를 바란다. 이미 여러 차례 회담 자리에서 이러한 뜻을 은밀하게 (아베 총리 쪽에) 전달했다”고 전했다. 또 신문은 “(미국 쪽은)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 이후 조성된 동북아의 긴장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제2차 세계대전과 관련해 일본이 과거에 했던 공식 사과를 재확인하는 방안도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어 “미국은 주요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이 지역 차원의 현안에 공동 대응할 수 있도록 일본이 두 나라 간 관계 개선에 나서기를 원한다”며 “2차대전 당시 일본군이 강제 동원한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갈등 해결을 위한 조처도 (일본 쪽에) 아울러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미국은 지난달 26일 아베 총리가 A급 전범 14명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강행하자 “실망스럽다”며 이례적으로 강도 높은 성명을 내놓은 바 있다. 캐럴라인 케네디 주일 미국대사는 지난 23일 <아사히신문>과 한 인터뷰에서 “미국은 동북아에서 긴장이 높아지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아베 총리의 신사 참배 강행 결정에 실망했다”고 재차 강조했다.
미국의 이러한 움직임에도 아베 총리는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그는 23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 참석한 자리에서 야스쿠니 참배 논란과 관련해 “중국과 한국민들의 감정을 상하게 할 의도는 없었다. 그저 전쟁으로 목숨을 잃은 이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행동이었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실라 스미스 미국 외교관계위원회(CFR) 선임연구원은 <월스트리트 저널>에 “아베 총리와 오바마 행정부 사이에 과거사 문제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의 간극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중국 외교부의 친강 대변인은 24일 “일본 지도자가 중-일 관계 개선을 원한다면 즉각 잘못을 인정하고 마음을 고쳐먹어 다시는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강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 지도자가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한 것은 대외 침략과 식민 통치 역사를 공공연히 부정하고 미화하는 것”이라며 “일본 지도자가 말로는 적극적 평화주의를 지향한다고 하면서 실제로는 군비 확장과 전쟁 준비를 추구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말했다.
정인환 기자,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