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혼다 미국 하원의원
“생존 피해자들 인내 여유 없어
장관이 즉각 관심 가져주길”
장관이 즉각 관심 가져주길”
지난달 통합세출법안에 ‘위안부 조항’을 넣은 주역인 마이크 혼다 미국 하원의원(민주)이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이 조항의 이행을 강력히 촉구했다.
혼다 의원은 4일(현지시각) 서한에서 “생존해 있는 위안부 피해자들한테는 인내할 여유가 없다”며 “국무장관이 이번 사안에 즉각 관심을 가져주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 사안의 해결을 위해 국무부 내 민주·인권·노동국과 인신매매감시·단속청의 당국자와 면담을 주선해달라고 요청했다.
지난달 29일 빌 패스크렐 의원(민주) 등 하원의원 3명이 이행 촉구 서한을 보낸 데 이어 혼다 의원까지 나섬에 따라 케리 장관에게 상당한 정치적 압박이 될 것으로 보인다.
통합세출법안의 위안부 조항은 “2007년 7월30일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 통과를 주목하고 국무장관이 일본 정부가 이 결의에서 제기된 사안들을 해결하도록 독려하라고 강력히 촉구한다”는 내용이다. 위안부 결의안은 일본 정부가 역사적 책임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와 배상 등을 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혼다 의원은 “일본 정부가 이미 사과했고 충분히 문제를 해결했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지만 나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위안부 제도가 필요했다는 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의 발언, 위안부를 한때 창녀라고 간주한 아베 신조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모미이 가쓰토 <엔에이치케이>(NHK) 회장의 위안부 발언에 비춰볼 때 이 사안이 미제로 남아 있고, 지역과 국제안보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것은 역사적 이슈나 아시아 이슈가 아니고 인권 이슈라고 믿으며 인권 전문가들에 의해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