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 대신 천연가스로 발전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오는 2030년까지 발전소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수준에 견줘 최대 30%까지 줄이기로 했다. 미국 정부가 내놓은 기후변화 관련 정책 가운데 가장 강력한 내용이다. 미국은 중국에 이어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2위로, 두 나라의 배출량이 전세계의 40%를 넘는다.
2일 <워싱턴포스트> 등 현지 언론 보도를 종합하면, 환경보호청은 미국 내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30년까지 해마다 5억t씩 줄여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600여곳 화력발전소의 연료를 천연가스로 전환하는 한편,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투자도 대폭 늘리기로 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연방정부 차원에서 온실가스 규제와 관련해 내놓은 가장 강력한 조처”라고 평가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이번 조처는 1970년 통과된 청정공기법에 따른 행정명령권에 기댄 것이다. 오바마 행정부는 그동안 의회를 통해 비슷한 내용을 입법화하려고 여러 차례 시도했지만, 공화당의 반발에 밀려 무위에 그쳤다. 앞서 조지 부시 행정부는 지구촌 차원의 온실가스 배출량 규제 협정인 교토의정서를 사실상 무력화시킨 바 있다.
미국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8%는 발전 부문에서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현재 가동 중인 석탄 연료 화력발전소의 평균 운전기간은 무려 42년에 이른다”며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을 초과하는 것도 대부분 이들 노후한 화력발전소”라고 전했다. 그럼에도 탄광·발전업계에선 오바마 행정부가 “현재의 기술 수준을 뛰어넘는 온실가스 규제안을 내놓고 있다”고 비난해 왔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