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반군이 바그다드를 위협하며 진격 하자 미국이 이라크 인근 걸프 해역에 급파한 항공모함 조지 부시호 갑판에서 17일 시호크 헬리콥터가 유도병의 신호에 따라 착륙을 시도하고 있다. 미해군 제공/AFP 연합뉴스
개입 명분 확보한 오바마
“의회승인 없이도 공습 가능”
“의회승인 없이도 공습 가능”
이라크 정부가 이슬람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ISIL·이하 이슬람국가)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미국이 공습을 해달라고 공식 요청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의회 지도부를 백악관으로 불러 이라크 사태 개입 방안 등을 논의했다.
19일 <아에프페>(AFP) 통신 등 외신보도를 종합하면, 호샤르 제바리 이라크 외무장관은 18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과 맺은 안보협정에 따라 이슬람국가 무장세력을 겨냥한 공습을 포함한 공군력 지원을 공식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슬람국가의 기세를 꺾기 위해서라도 공습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마틴 뎀프시 미 합참의장도 이날 상원 청문회에 출석해 이라크 정부가 공군력 지원을 요청했다고 확인했다. 다만 뎀프시 의장은 “요청에 응할 것이냐”는 질의에, “이슬람국가 무장세력이 출몰하는 곳이 어디든 그들과 맞서는 게 미국의 국가안보에 필요하다고 믿는다”며 즉답을 피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라크 정부의 지원 요청에는 무인기를 이용한 공습과 정보수집 등이 포함됐다”고 전했다.
이날 오바마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하원의 민주-공화 양당 지도부와 만나 이라크 사태 개입 방안에 대해 1시간여 동안 브리핑했다. 이 자리에는 상원의 해리 리드(민주당)·미치 매코넬(공화당) 원내대표, 하원의 존 베이너 의장(공화당)과 낸시 펠로시 원내대표 등이 참석했다. <에이피>(AP) 통신은 “이날 회동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의회의 승인을 거치지 않고도 이라크 사태에 개입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고 전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지난해 중반에도 시리아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저울질했지만, 의회 쪽의 반대 여론에 밀려 뜻을 접은 바 있다. 하지만 이번엔 이라크 정부 쪽이 공식 지원을 요청한 터라, 의회의 승인 없이 독자적으로 개입할 명분이 생겼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라크에 지상군 병력을 파병하는 것을 제외한 (공습 등) 모든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에이피>는 “이슬람국가의 근거지와 훈련캠프, 무기를 비롯한 병참 보급선 등 타격 목표물을 정확히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정보를 확보하면 언제든 공습도 가능하다는 게 백악관 쪽 입장”이라며 “지금으로선 충분한 정보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라고 전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