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아시아 중시 정책 지속 밝혀
지역안보에서 중국과 협력 강조
지역안보에서 중국과 협력 강조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13일 중동·동유럽 등에서 벌어지는 위기 속에서도 미국의 아시아 중시 정책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케리 장관은 이날 하와이에서 열린 동서센터 주최 행사에서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정책 비전’이란 주제의 연설을 통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나에게 남은 임기 2년 반 동안 아·태 지역에서 노력을 배가할 것을 요청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미국의 아시아 정책은 장기적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다며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완성, 기후변화 대처를 위한 청정에너지 개발, 지역안보협력 강화, 인권 개선 활동 및 사람들의 능력 계발 등 4가지 구체적 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그는 지역안보협력 문제와 관련해 중국과의 협력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중 간의 ‘신형 대국관계’에 대해 “이런 건설적 관계는 말만 해서는 달성되지 않으며, 영향력을 추구하는 방식으로도 이뤄지지 않는다”며 “두 나라와 지역에 기여하는 규칙과 규범, 제도를 서로 받아들임으로써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표적인 사례로 동·남중국해 영토분쟁을 거론했다.
북한에 대해서는 “21세기에 북한처럼 인간 존엄성이 박탈당하는 곳이 없다”며 “북한은 수용소를 바로 지금 폐쇄해야 한다. 우리는 이 문제를 계속 제기할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앞서, 케리 장관은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미얀마·오스트레일리아·솔로몬제도 등 아시아 3개국을 순방했다. 특히 10일 미얀마에서는 아세안지역포럼(ARF)에 참가해 지역안보협력 문제를 논의했다.
그러나 그의 이번 아시아 순방은 높은 점수를 얻지는 못할 것 같다. 그는 아세안지역포럼에서 핵심 쟁점인 남중국해 분쟁과 관련해, 중국을 포함한 모든 당사국들이 도발적 행동을 동결할 것을 제안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뉴욕 타임스>는 “미얀마에서는 야당 지도자인 아웅산 수치가 케리 장관에게 미얀마의 정치개혁 전망에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며 “이번 순방은 케리 장관이 아·태 지역에 모든 에너지를 쏟아붓는다 해도 직면해야 할 과제들이 적지 않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