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가안보국(NSA·그림) 지난해 11월 ‘소니 해킹’ 사태가 불거지기 훨씬 이전인 2010년부터 한국 등의 도움을 받아 북한 인터넷 시스템에 침입해 북한 해커들의 활동 상황을 감시하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의 암살을 묘사한 영화 <인터뷰>의 제작사인 소니를 해킹한 것이 북한이라고 미국 정부가 단언할 수 있었던 것은 미국이 북한 시스템을 해킹해 오랫동안 손바닥보듯 감시해왔기 때문이라는 점이 드러난 것이다.
미국 정보당국은 2010년부터 북한과 외부 세계를 연결하는 중국 인터넷망을 뚫고 들어간 뒤, 북한 해커들이 애용하는 말레이시아 회선을 통해 북한 네트워크로 직접 침투해 사이버 공작 현황을 파악해 왔다고 <뉴욕 타임스>가 18일 미국 전직 관리들과 컴퓨터 전문가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은 특히 이 과정에서 한국을 비롯한 우방국들의 도움을 받았으며, 북한이 소니를 해킹하려는 조짐을 사전에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신문이 인용한 국가안보국의 비밀 문건에 따르면, 미 정보당국은 이미 2010년께 북한의 해커들이 사용하는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내부 활동을 추적할 수 있는 해킹 프로그램을 심어놓는 데 성공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 2일 북한 정부와 노동당을 소니 해킹의 배후로 지목한 데에는 미 정보당국이 오래 전에 심어놓은 해킹 프로그램으로 수집한 북한 관련 정보들이 결정적 단서가 됐다고 한다. <뉴욕 타임스>는 “오바마 대통령이 ‘북한이 미국을 겨냥한 대량파괴적 사이버 공격을 하고 있다’며 보복 조처까지 다짐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미국이 사이버 공격과 관련해 다른 나라의 정부를 명시적으로 비난한 전례가 없었다”고 보도했다.
미국은 10여년 전부터 외국의 컴퓨터망에 침투해 이를 감시하고 파괴할 수 있는 ‘비컨 프로그램’을 운용 중이다. 그러나 북한 해커들의 움직임을 샅샅이 추적해온 미국이 북한의 소니 해킹을 사전에 경고하거나 막지 못한 것은 의문이다. 북한은 영화 <인터뷰>의 예고편이 공개된 지난해 6월부터 강력히 반발하며 보복을 예고했었기 때문이다. <뉴욕 타임스>는 미국 정부가 사이버 정보 수집 기법이 밖으로 노출될까봐 공개적 발언을 삼갔던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북한에 억류 중인 미국인 석방을 위해 깜짝 방북한 제임스 클래퍼 미 국가정보국(DNI) 국장도 김영철 북한 정찰총국장과 만찬을 하면서 북한의 해킹 위협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브라이안 헤일 국가정보국 대변인은 “클래퍼 국장의 당시 방북은 미국인 석방이 초점이었으며, 다른 문제들을 논의하느라 석방 협상이 틀어지는 걸 원치 않았다”고 밝혔다.
최근 공개된 한국 국방백서는 북한의 해커들이 6000명에 이르며 인민무력부 직할기구인 정찰총국의 지휘를 받는다고 했다. 특히 정찰총국 산하 121국(전자정찰국 사이버전 담당)은 중국에 대규모 전초 기지를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