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S 인터뷰…‘축출’에서 물러서
최근 아사드 퇴진 발언 자제
CIA 국장도 “IS 세력 확장 더 우려”
국무부는 “정책 불변” 즉각 부인
최근 아사드 퇴진 발언 자제
CIA 국장도 “IS 세력 확장 더 우려”
국무부는 “정책 불변” 즉각 부인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15일 5년째로 접어든 시리아 내전과 관련해 바샤르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과의 협상 필요성을 제기해 주목된다. 미국은 그동안 아사드 정권 축출이 시리아 전략의 제1 목표라고 공언해 왔지만, 최근 고위 당국자들 사이에서 아사드 대통령 축출보다는 협상에 무게를 두는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케리 국무장관은 이날 <시비에스>(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종국에는 협상을 해야 한다”며 “우리가 외교적 결과물을 재점화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관련 당사자들과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아사드와 직접 협상할 뜻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가 새로운 임시정부 수립이라는 제네바 평화회의의 최종 목표를 받아들인다면 그렇게 할 의지가 있다고도 말했다.
앞서, 존 브레넌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지난 13일 뉴욕 미국외교협회(CFR) 연설에서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의 득세 가능성을 우려하면서 아사드 정권이 혼돈 속에 무너지는 상황을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극단주의 세력이 다마스쿠스로 진격해 오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가장 원치 않는 일”이라며 “러시아, 미국, 중동 국가들 가운데 어느 곳도 다마스쿠스의 정부와 정치제도가 붕괴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두 사람의 발언만 보면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아사드 축출’이라는 목표에서 한발짝 물러선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미국은 여전히 아사드가 권좌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계속 주장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아사드가 적(‘이슬람국가’)의 적이 된 지금 그가 언제 어떻게 물러나야 하는지에 대한 요구를 완화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석했다. 이 신문은 “케리 장관이 최근 몇달간 아사드가 물러나야 한다는 분명한 주장을 자제해 왔다”고 덧붙였다.
이런 발언만 놓고 미국의 시리아 정책이 변화하기 시작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만만치 않게 제기된다. <뉴욕 타임스>는 “케리 장관의 발언은 미국의 전략 변화라기보다는 내전을 종결시켜야 한다는 결의를 반영한 것처럼 보인다”고 해석했다. 실제로, 미 국무부 쪽은 케리 장관의 발언을 즉각 부인하고 나섰다. 마리 하프 국무부 부대변인은 “(아사드 정권 축출이라는) 미국의 정책은 바뀌지 않았다”며 “협상의 대상도 아사드가 아니라 아사드 정권의 대표단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근동정책연구소의 앤드류 테이블러 연구원은 <뉴욕 타임스>에 케리 장관의 발언과 관련해 “긍정적으로 보면 미국이 평화적 해결책에 대한 결의를 여전히 갖고 있다는 걸 보여주지만, 오바마 행정부 내에 이와 관련한 분명한 전략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는 부정적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시리아 내전으로 현재 22만명가량이 숨지고, 인구의 3분의1이 피난 상태에 있다. 미국과 러시아의 중재로 지난해 두 차례 평화회의가 열렸지만 견해 차이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