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원전사고 이후 필요성 절감
다음달 세번째 로봇 경진 대회
로봇 사업에 1억달러 가량 투자
유엔, ‘살인 로봇’ 개발·합법성 논의
다음달 세번째 로봇 경진 대회
로봇 사업에 1억달러 가량 투자
유엔, ‘살인 로봇’ 개발·합법성 논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후쿠시마원전 내부의 수소 농도가 위험 수위로 치닫고 있었다. 원전 직원들은 수소를 빼내려고 안간힘을 썼으나, 방사능 노출이 심각해지자 강제 퇴거해야 했다. 미국 국방부가 나섰다. 인간의 접근이 차단된 원전의 해결사로 로봇 투입을 제안했다. 하지만 폭탄 해체가 주임무였던 이 로봇이 원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데 수주일이 걸렸다. 현장에 로봇들이 투입됐을 때는 피해 관측 외에는 할 일이 없었다.
미 국방부는 이 사건 이후 재난대응 로봇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밝혔다. 2년 뒤 국방부 소속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재난대응 로봇을 뽑는 첫 ‘로보틱스 챌린지’ 대회를 열었다. 세번째로 열리는 2015년 대회는 다음달 5~6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포모나에서 열린다. 최종 결선에서 겨루는 25개팀 중 한국팀 3곳도 포함됐다. 출전한 로봇들은 ‘인간 조종사’가 볼 수 없는 코스에서 장애물을 피하며 사륜산악오토바이(ATV)를 목적지까지 운전해야 한다. 문을 열고 들어가 밸브를 돌리거나 벽에 구멍을 뚫고 울퉁불퉁한 지면을 지나는 등 재난현장에 필요한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대회 상금은 350만달러(약 38억원)에 달하는 데, 미 국방부는 이 로봇 사업에 1억달러(약 1086억원) 가까이 투자했다.
일부에서는 무기체계의 기술 선진화가 정책을 앞서가고 있다고 우려한다. 지난달 스위스 제네바 유엔사무소에서는 ‘자율무기체계’(살인 로봇) 개발과 그 합법성 등에 대한 국제 회의가 열렸다. 앞서 2013년 유엔특별보고관 크리스토프 헤인즈는 ‘살인 로봇’ 개발 금지를 요청했다. 인간이 전투 현장에서 떨어져 살인에 더 무감각해질 수 있다는 이유였다.
대회 조직자들은 이 로봇들이 전쟁이 아닌 재난현장 투입을 위해 개발됐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미국은 지난 2008년 무인 전투로봇 ‘마스’를 도입해 2018년 실전 투입을 목표로 실험 중에 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