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찰관 “40개 견본서 4건 이상 발견”
클린턴 “당시엔 기밀 아니었을 것”
클린턴 “당시엔 기밀 아니었을 것”
미국 민주당의 유력한 대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재임 시절 사용했던 개인 이메일 계정 분석 결과, 일부 ‘기밀 사항’도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장관 재직시 개인 이메일 사용은 클린턴의 대선가도에서 계속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 저널>이 입수해 24일 보도한 문서를 보면, 클린턴의 이메일을 검토한 정보기관 감찰관 찰스 매컬로는 “‘비밀’로 분류해 다뤘어야 하는 이메일이 적어도 4건 포함됐다”는 결론을 내렸다. 감찰관은 3만여개에 이르는 클린턴의 이메일 가운데 국무부에서 제공한 40여개의 견본 이메일 검토 뒤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어느 것 하나도 문서 등급 분류가 표시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감찰관은 23일 의회에 보낸 편지에서 “검토 결과를 국무부와 정보당국, 대테러센터와 연방수사국(FBI) 등에 통보했다”고 전했다. 끝으로 그는 국무부가 법적인 문제로 거부한 클린턴 이메일 전체 복사본을 제공해 달라고 요구했다.
앞서 스티브 리닉 국무부 감찰관은 지난달 29일 클린턴의 이메일을 검토한 결과 “기밀이 포함된 이메일 수백건이 있을 가능성”을 발견했다며 법무부에 조사를 의뢰했다. 이어 국무부와 정보기관 감찰관은 이달 17일에 다시 패트릭 케네디 국무부 차관에게 “이메일 수건이 기밀 사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등급 분류가 되지 않았다. 적어도 하나는 (국무부에 의해) 일반에 공개됐다”고 보고했다.
클린턴의 이메일에 대한 감찰은 지난 3월 공화당의 리처드 버 상원 정보위원장과 밥 코커 상원 외교위원장 등의 요구로 시작됐는데, 이들은 국무부에 ‘개인 계정을 통해 기밀이 오갔는지 조사해달라’며 정보기관 감찰관실과의 공동 작업을 요구했다. 법무부는 24일 ‘기밀 정보를 부주의하게 다뤘을 가능성’에 대한 조사 의뢰를 받은 사실을 확인했으나 “범죄 혐의 조사에 대한 의뢰는 아니었다”고 밝혔다.
클린턴은 즉각 반발했다. 그는 23일 “부정확한 사실이 많다”며 문제될 사항은 없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이어 24일에는 ‘대선 후보 깎아내리기’라며 거부해온 2012년 리비아 벵가지 사건 특별조사위원회 증언도 직접 참석해 진행하겠다고 나섰다. 클린턴은 언급된 이메일이 어떤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보냈을 당시 기밀이 아니었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국무부도 같은 의견을 보였다. 마크 토너 국무부 대변인은 “우리가 아는 바로는 당시 어떤 것도 기밀로 분류될 필요가 없었다”며 그 가운데 다수가 현재는 기밀로 분류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