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후 강원도 평창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 바로 뒤에 북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자리하고 있다. 옆에는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내외가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평창 겨울올림픽 개막식 참석차 방한 중이었던 지난 10일 북한 쪽 대표단을 만날 예정이었으나, 회동 2시간 전에 북한 쪽이 취소했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2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신문은 “북한 대표단은 10일 아침까지도 만나겠다는 입장을 유지했지만 몇시간 뒤 회동을 취소했다”며 애초 회동 예정 시간이 2시간도 채 안남은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펜스 부통령실은 북한 쪽이 회동을 취소하면서 펜스 부통령의 탈북자 면담과 새로운 제재 선언에 불만을 표시했다고 신문에 밝혔다. 이에 따라 펜스 부통령은 당일 오후 문대통령과 스케이팅 경기를 본 뒤 귀국길에 올랐다고 신문은 전했다.
회동에는 미국 쪽에서 펜스 부통령과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 정보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할 예정이었으며, 북한 쪽에선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과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및 다른 북한 관리가 참석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신문은 백악관 관리를 인용해, 펜스 부통령의 한국 체류 때 중앙정보국(CIA)은 북한이 펜스 부통령을 만나기를 원한다는 말을 전해듣고 회동을 준비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또한, 다른 관리는 이런 구상이 한국 쪽으로부터 나온 것이라고 밝혔다.
펜스 부통령이 올림픽 개막식 참석을 위해 한국으로 출발하기 전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펜스 부통령, 허버트 맥매스터 국가안보보좌관 등이 모여 북-미간 회동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고, 트럼프 대통령과 펜스 부통령은 회동의 목표에 동의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즉, 회동이 성사되면 ‘김정은 정권’과 협상의 문을 열기 위한 것이 아니라, 북한 사람들과 얼굴을 마주보며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입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두명의 백악관 관리는 말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