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28 18:55 수정 : 2005.02.28 18:55

이집트 대통령직선제 수용
시리아, 후세인 동생 체포

중동 민주화를 통한 중동질서 재편을 노린 제2기 조지 부시 미국 행정부의 대중동 압박 정책이 효과를 발휘한 것일까?

미국의 이중적인 중동정책의 대표적 사례로 지목받았던 이집트의 호스니 무바라크(76) 대통령이 지난 26일 대통령직선제 개헌 수용을 전격적으로 발표해 미국의 민주화 요구를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 ‘악의 축’에 이어 ‘폭정의 전초기지’로 지목됐던 시리아가 이라크 반군의 자금줄로 지목돼온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의 의붓동생 사바위 이브라힘 알 하산 알 티크리티를 체포해 넘겨주는 화해 제스처를 취했다.

◇ 이집트, 직선제 전격 수용=직선제 개헌 불가를 천명했던 무바라크 대통령이 26일 대통령 선출과정을 규정한 헌법 76조를 전격 수용한 이후 국민의회는 28일부터 본격적인 개정 논의에 착수했다. 이번 발표는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지난달 말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요구한 신생 야당인 알-가드의 아이만 누르 당수를 체포·구금한 데 대한 항의 표시로 3월 초로 예정됐던 이집트 방문 취소를 밝힌 지 하루 만에 이뤄진 것이다.

이번 조처는 1952년 군사혁명 이래 한번도 실시된 적이 없는 직선제 대통령선거가 오는 10월 처음으로 실시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1981년 사다트 암살사건 이후 비상계엄통치를 계속하고 있는 무바라크의 5번째 연임에 영향을 줄지는 불투명하다. 무바라크의 이번 결정은 부시 행정부의 민주화 요구 압력의 예봉을 피해나가면서 최근 이라크와 팔레스타인 선거, 그리고 처음 실시된 사우디아라비아의 전국적인 지방선거 등 중동지역의 정치개혁 분위기에 편승한 국내의 정치개혁 요구를 무마하려는 복합적인 계산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 시리아의 태도 변화=시리아 안 이라크 반군 지원세력을 발본색원하라는 미국 등의 요구를 거부해 오던 시리아 정부가 후세인 정부의 정보책임자였으며 현재 이라크 반군의 배후 조종자로 지목돼온 알 티크리티 등 30여명을 전격적으로 체포해 이라크 당국에 인도했다고 <에이피통신>이 27일 보도했다. 알 티크리티는 미군 점령당국이 지명한 전직 이라크 고위관리 55명 수배자 가운데 36번째로, 100만달러 현상금이 걸려있던 인물이다.

시리아의 전격 작전은 레바논에서 발생한 라피크 하리리 전 총리의 암살사건이 벌어진 지난 14일 이후에 감행된 것으로 알려져, 암살 사건 배후로 지목된 뒤의 난관을 타개하려는 대미 화해 제스처로 평가된다. 시리아는 또다른 화해 조처로 레바논 안 주둔 병력의 1만5천명을 국경부근 베카계곡으로 철수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런 조처들이 시리아로 피신한 이라크 주요 수배자들과 국경을 넘나드는 이라크 무장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추가소탕이나 국내 민주개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긴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류재훈 기자 hooni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