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혁명 닮은꼴…압박성 시위 이어질듯 지난달 14일 라피크 하리리 전 총리 암살사건 뒤 안팎의 사퇴압력을 받아온 레바논의 친시리아계 내각이 총사퇴했다고 1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 카라미 내각 총사퇴=야권의 ‘불신임 투표’ 압력에 시달려온 카라미 총리는 이날 의회에 나와 “정부가 국가를 위하는 일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내각이 총사퇴 하기로 결정했다”고 전격 밝혔다. 레바논 의회는 친시리아계 의원이 과반의석을 확보하고 있어 불신임안이 표결에 부쳐지더라도 통과될 가능성은 높지 않았다. 앞서 카라미 총리는 지난달 23일 “정치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새 정부 구성을 위한 합의가 이뤄진다면 언제든 사임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전날 정부가 모든 집회·시위를 금지했음에도 수도 베이루트 중심가 순교자 광장에 몰려든 2만5천여명의 시위대는 이날 내각 총사퇴 발표가 나오자 국기를 흔들고 경적을 울리며 환호했다. 현지 일간 〈데일리스타〉는 야당 지도자 왈리드 줌블라트(진보사회주의자당)의 말을 따 “내각 총사퇴는 야당과 레바논 국민의 결정적 승리”며 “시리아군 전면 철수를 위해 언제든 직접 대화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전했다. 이날 내각이 총사퇴했음에도 레바논에 대한 시리아의 장악력이 쉽게 막을 내릴 것으로 보는 이들은 많지 않다. 야당 지도자들이 이날 카라미 정부 퇴진 이후에도 시리아군이 레바논에서 완전 철수할 때까지 시위를 계속하도록 지지자들에게 촉구한 것도 이 때문이다. ◇ 중동판 오렌지 혁명?=지난달 14일 하리리 전 총리 암살 뒤 시위를 계속해 결국 친시리아계 내각 총사퇴를 이끌어낸 레바논 사태는 지난해 11월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졌던 이른바 ‘오렌지 혁명’과 닮은 점이 많다. 미 국무부 폴라 도브리안스키 차관은 이번 레바논 사태를 ‘백향목 혁명’이라고 추켜세우기도 했다. 백향목은 레바논 국기의 중앙에 그려져 있는 나무다.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는 1일 “우크라이나 대학생들이 키에프에서 대형 천막을 치고 오렌지색 물결을 이뤘던 것처럼, 베이루트에서도 150여명의 대학생들이 하리리 전 총리 무덤가에 천막을 치고 레바논 국기의 상징인 흰색과 붉은색이 시위대의 상징색이 됐다”고 전했다. 시위대의 배후에선 시위 일정을 정하고, 시위용품을 준비하는 한편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등을 이용해 긴밀한 연락을 취하는 등 수백명의 젊은이들이 조직적인 움직임을 보인 것도 우크라이나 사태와 닮은 꼴이라는 게 신문의 지적이다. 특히 시위를 주도한 단체 가운데 하나인 자유애국전선은 레바논 내전에 마침표를 찍은 타이프 협정에 반대해 시리아와 전쟁을 벌이다 쫓겨난 뒤 1990년부터 프랑스에서 망명 중인 포병장교 출신의 미셸 아운(68)이 이끌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끈다. 이 단체는 미 의회가 지난 2003년 시리아 제재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주도적인 구실을 한 ‘레바논계 미국인 기구 위원회’(CLAO)와 연계돼 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중동·아프리카 |
베이루트 반정부 시위대 환호 |
우크라이나 혁명 닮은꼴…압박성 시위 이어질듯 지난달 14일 라피크 하리리 전 총리 암살사건 뒤 안팎의 사퇴압력을 받아온 레바논의 친시리아계 내각이 총사퇴했다고 1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 카라미 내각 총사퇴=야권의 ‘불신임 투표’ 압력에 시달려온 카라미 총리는 이날 의회에 나와 “정부가 국가를 위하는 일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내각이 총사퇴 하기로 결정했다”고 전격 밝혔다. 레바논 의회는 친시리아계 의원이 과반의석을 확보하고 있어 불신임안이 표결에 부쳐지더라도 통과될 가능성은 높지 않았다. 앞서 카라미 총리는 지난달 23일 “정치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새 정부 구성을 위한 합의가 이뤄진다면 언제든 사임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전날 정부가 모든 집회·시위를 금지했음에도 수도 베이루트 중심가 순교자 광장에 몰려든 2만5천여명의 시위대는 이날 내각 총사퇴 발표가 나오자 국기를 흔들고 경적을 울리며 환호했다. 현지 일간 〈데일리스타〉는 야당 지도자 왈리드 줌블라트(진보사회주의자당)의 말을 따 “내각 총사퇴는 야당과 레바논 국민의 결정적 승리”며 “시리아군 전면 철수를 위해 언제든 직접 대화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전했다. 이날 내각이 총사퇴했음에도 레바논에 대한 시리아의 장악력이 쉽게 막을 내릴 것으로 보는 이들은 많지 않다. 야당 지도자들이 이날 카라미 정부 퇴진 이후에도 시리아군이 레바논에서 완전 철수할 때까지 시위를 계속하도록 지지자들에게 촉구한 것도 이 때문이다. ◇ 중동판 오렌지 혁명?=지난달 14일 하리리 전 총리 암살 뒤 시위를 계속해 결국 친시리아계 내각 총사퇴를 이끌어낸 레바논 사태는 지난해 11월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졌던 이른바 ‘오렌지 혁명’과 닮은 점이 많다. 미 국무부 폴라 도브리안스키 차관은 이번 레바논 사태를 ‘백향목 혁명’이라고 추켜세우기도 했다. 백향목은 레바논 국기의 중앙에 그려져 있는 나무다.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는 1일 “우크라이나 대학생들이 키에프에서 대형 천막을 치고 오렌지색 물결을 이뤘던 것처럼, 베이루트에서도 150여명의 대학생들이 하리리 전 총리 무덤가에 천막을 치고 레바논 국기의 상징인 흰색과 붉은색이 시위대의 상징색이 됐다”고 전했다. 시위대의 배후에선 시위 일정을 정하고, 시위용품을 준비하는 한편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등을 이용해 긴밀한 연락을 취하는 등 수백명의 젊은이들이 조직적인 움직임을 보인 것도 우크라이나 사태와 닮은 꼴이라는 게 신문의 지적이다. 특히 시위를 주도한 단체 가운데 하나인 자유애국전선은 레바논 내전에 마침표를 찍은 타이프 협정에 반대해 시리아와 전쟁을 벌이다 쫓겨난 뒤 1990년부터 프랑스에서 망명 중인 포병장교 출신의 미셸 아운(68)이 이끌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끈다. 이 단체는 미 의회가 지난 2003년 시리아 제재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주도적인 구실을 한 ‘레바논계 미국인 기구 위원회’(CLAO)와 연계돼 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