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국가인정’ 보복 일환에
유엔·서방 “국제법 위반” 강경 대응
일부선 “말로 그치지 않을 것” 경고
유엔·서방 “국제법 위반” 강경 대응
일부선 “말로 그치지 않을 것” 경고
이스라엘이 유엔(UN)의 팔레스타인 국가 지위 인정에 대한 보복 조처로 동예루살렘에 유대인 정착촌 건설을 강행하려고 하자, 유럽을 비롯해 국제사회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이스라엘 일간지 <하레츠>는 영국, 프랑스, 스웨덴 세 나라가 각각 자국 주재 이스라엘 대사를 불러 정착촌 건설 계획을 비판했다고 3일 보도했다. 독일과 러시아 정부도 이스라엘에 재검토를 요청했다. <하레츠>는 이스라엘에 대한 비판 여론은 경제적 보복 등 보다 심각하고 실질적인 조처를 수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럽의 한 고위 외교관은 “이번엔 단지 말로 비난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해졌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대변인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의 태도가 매우 실망스럽다. 동예루살렘에 정착촌을 건설하는 것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평화 구축에 치명타가 될 것이다” 라고 공격했다. 캐서린 애슈턴 유럽연합(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도 성명을 내고 “유럽연합은 그동안 동예루살렘을 포함해 서안지구에서 유대인 정착촌 건설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해왔다. 이스라엘의 정착촌 건설 계획은 국제법을 위반한 것이다”라고 비판했다.
이에 앞서 이스라엘은 지난달 30일 예루살렘과 서안지구 경계지역인 ‘E1’에 유대인 주택 3000호를 짓겠다고 발표했다.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는 “E1 지역은 지금까지 이스라엘이 미 역대 행정부에게 절대 정착촌을 짓지 않겠다고 약속할 만큼 정치적으로 민감한 곳이다. 이스라엘이 이번에 E1을 선택한 것은 워싱턴까지도 성나게 할 수 있다”라고 짚었다. 건설촌 문제 말고도 가자지구에 대한 무차별 폭격 때문에 국제여론은 이스라엘에 냉담했다. 지난달 29일 유엔총회에서 팔레스타인 지위 승격안을 놓고 188개국이 투표에 참여한 결과 138개국이 찬성, 41개국이 기권했고 미국과 이스라엘, 캐나다 등 9개국만 반대표를 던졌다. 이스라엘의 오랜 우방이었던 영국과 독일조차 기권표를 던지며 돌아섰다.
이유주현기자 edign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26년’ 돌풍…100만 돌파 카운트다운
■ ‘잠자는 내돈…내돈…’ 최소 1,800,000,000,000원
■ “안철수 변수 사라졌다” 새누리당 미소
■ 수입차에 내수시장 뺏길라… 현대차, 가격동결 정면승부
■ ‘해찬들’ 고춧가루서 농약성분 초과검출
■ [세상 읽기] 김지하의 변신 혹은 변절
■ FIFA, ‘독도 세리머니’ 박종우에 2경기 출전정지 징계
■ ‘26년’ 돌풍…100만 돌파 카운트다운
■ ‘잠자는 내돈…내돈…’ 최소 1,800,000,000,000원
■ “안철수 변수 사라졌다” 새누리당 미소
■ 수입차에 내수시장 뺏길라… 현대차, 가격동결 정면승부
■ ‘해찬들’ 고춧가루서 농약성분 초과검출
■ [세상 읽기] 김지하의 변신 혹은 변절
■ FIFA, ‘독도 세리머니’ 박종우에 2경기 출전정지 징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