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카타르·바레인·오만 등 6개국
이란 핵개발·영유권 분쟁 등 잇따라
지역안보 위기 ‘자체 방어체계’ 마련
이란 핵개발·영유권 분쟁 등 잇따라
지역안보 위기 ‘자체 방어체계’ 마련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아랍에미리트·카타르·오만·바레인 6개 나라로 구성된 걸프협력회의(GCC)가 국가 안보를 위한 공동 대응책의 하나로 군 합동사령부를 창설하는 데 합의했다. 걸프협력회의 소속 정상들은 24~25일 바레인의 수도 마나마에서 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하고 앞으로 군사적·경제적 협력을 계속 강화할 것을 다짐했다고 <아랍뉴스> 등 현지 언론이 전했다.
1981년 결성된 걸프협력회의는 각 나라의 경찰·군대로 구성된 연합방위군을 갖추고 있다. 연합방위군은 1991년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한 직후와 2003년 이라크전쟁을 앞두고 쿠웨이트에 파병된 적이 있다.
이번에 합동사령부 창설을 합의한 것은 최근 이란의 핵개발과 아랍에미리트와의 영유권 분쟁, 시리아내전 격화 등 지역안보가 불안한 상황에서 통합적인 자체 방어 시스템을 마련하려는 노력이다. 이슬람 수니파 국가들로 이뤄진 걸프협력회의는 이틀간 회의에서 시아파 국가인 이란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이란이 바레인 내 시아파를 부추겨 내정에 개입하고 있다. 이란은 이를 즉시 중지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란과 아랍에미리트가 벌이고 있는 영유권 분쟁도 도마에 올랐다. 이란은 페르시아반도의 호르무즈 해협에 위치한 아부 무사섬 등 3개섬이 오래 전부터 자신의 영토였다고 주장하고 있고, 걸프협력회의 국가들은 아랍에미리트를 옹호하며 맞서고 있다. 이란은 이에 반발해 오는 28일부터 6일 동안 호르무즈 해협 부근의 공해에서 군사훈련을 한다고 26일 밝혔다. 100만㎢ 넓이의 해역에서 미사일 발사 시험, 전함과 잠수함을 동원한 전술 훈련은 대규모 군사시위 성격이 짙다.
걸프협력회의는 시리아내전에 대해서도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이 반군과 민간인에 대한 공격을 중지하도록 국제사회가 개입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반정부세력인 국민연합(SNCORF)에 대한 지지도 재확인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