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보기관, 장교 통화 엿들어
실무자 월권-상부 명령 불명확
실무자 월권-상부 명령 불명확
시리아에서 화학무기 참사가 벌어진 뒤 미국 정부가 이를 시리아 정권의 책임으로 단정하고 군사 개입 준비에 나선 근거는 시리아 정부군 관계자들 사이의 통화 감청 내용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1일 시리아 다마스쿠스 외곽 구타 지역에서 화학무기로 많은 민간인들이 숨진 뒤, 시리아 정부군 장교가 화학무기 운용 부대 책임자와 통화한 내용을 미국 정보기관이 감청했다고 외교전문지 <포린 폴리시>가 27일 보도했다. 전화를 건 장교가 당황한 목소리로 신경가스를 사용한 데 대한 해명을 요구하는 내용을 미 정보기관이 엿들었으며, 이게 미국이 시리아 정부를 응징하겠다고 나선 근거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 통화 내용이 사실이라고 해도 이를 근거로 미국이 시리아의 바샤르 아사드 정권을 겨냥한 군사 개입에 나서는 게 합당한지에 대해선 여전히 논란이 있다고 <포린 폴리시>가 보도했다. 시리아 정부군 관계자의 당황한 태도 등을 볼 때 이번 참사가 화학무기를 관리하는 실무 책임자의 월권행위로 벌어졌는지, 정권 차원의 명령 때문인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인디펜던트>의 중동 전문기자 로버트 피스크는 27일 시리아 정부군과 함께 싸우던 레바논 무장단체 헤즈볼라 무장대원 3명도 당시 현장에서 화학무기에 중독된 증상을 보여 치료를 받고 있다며, 시리아 정부군이 화학무기 공격을 했다고 단정하기에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러시아 정부를 비롯해 시리아에 대한 군사 개입에 반대하는 쪽에선 서방의 공격을 받으리라는 것을 뻔히 아는 아사드 대통령이 유엔 조사단이 시리아에 머물고 있는 상황에서 화학무기를 썼을 리 없다고 반박해왔다. 미국 정부는 이르면 29일 이번 사건이 시리아 정부 책임이라고 입증할 증거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워싱턴 포스트>가 보도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