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아시아·태평양

북한, 도메인(.kp) 활용 인터넷 접속 시작한다

등록 2011-01-05 20:31수정 2011-01-06 08:24

중국 등에 서버 두고 IP주소 입력해와…“온라인 활동 강화 움직임”
북한이 국가 도메인(.kp) 이름을 활용한 인터넷 접속을 곧 시작할 것이라고 정보기술 전문 미디어인 ‘아이디지’(IDG)의 마틴 윌리엄스가 4일 인터넷 매체와 트위터 등을 통해 밝혔다. 북한의 이번 조처는 인터넷의 개방성을 더욱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북한은 2007년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아이칸, ICANN)에서 인터넷 국가도메인인 kp(남한의 경우 kr)를 부여받았으나 도메인 네임 서버(DNS 서버)를 쓰지 않고 그동안 중국 등에 서버를 두고 숫자로 된 아이피(IP) 주소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극히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인터넷에 접속해왔다. 예를 들면, 관영 <조선중앙통신>의 사이트는 www.kcna.co.kp가 아니라 www.kcna.co.jp였으며, 지난해 하반기 개설한 트위터 서비스도 중국 인터넷망이나 국외 장소에서 운영해왔다. 2003년 이후부터는 국가도메인(kp)을 사용해서 일부 홈페이지를 열었으나 이는 외부와 연결되지 않은 내부 인트라넷인 ‘광명’에서만 통용되도록 했다.

북한에 처음 이동전화 서비스를 제공했던 타이의 록슬리 퍼시픽사가 투자한 ‘스타 조인트 벤처’는 지난해 상반기 <조선중앙통신> 등 1024개의 인터넷 주소 등록을 마쳤으나 이번에 비로소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조처를 취하게 된 것이다.

윌리엄스는 “북한은 자체 인트라넷을 갖고 있음에도 이를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시키지 않음으로써 주민들을 외부 세계로 연결하는 인터넷 접근을 막았다”며 “온라인 활동을 강화하려는 일련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애초 윌리엄스는 북한이 인터넷 개방을 확대하는 이런 조처를 지난해 10월 조선노동당 창건 65주년에 발표할 것으로 예상했다.

강태호 기자 kankan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