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수당 달라” 요구 파업 진압
석유도시 자나오젠 ‘비상사태’
석유도시 자나오젠 ‘비상사태’
20년 넘게 독재정치가 계속되는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에서 경찰이 해고 노동자들에게 발포해 11명이 숨지고 해당 도시에 비상사태가 선포됐다. 이번 사건이 이슬람 문화권의 산유국인 카자흐스탄에 ‘아랍의 봄’이 수입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아에프페>(AFP) 통신은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71) 카자흐스탄 대통령이 17일 카스피해와 가까운 서부 석유산업 도시 자나오젠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고 보도했다.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은 “평화와 평온을 저해하고, 우리가 독립을 통해 성취한 것들을 망치려는 시도를 용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비상사태는 16~17일 자나오젠 중심가에서 경찰이 해고 노동자들에게 발포해 적어도 11명이 숨진 직후 선포됐다. 자나오젠의 석유 노동자들은 지난 5월 위험수당이 지급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파업을 벌였는데, 국영 석유회사는 그 중 989명을 해고해 반발을 사왔다. 한 현지 주민은 “시위대 3명이 사살당하는 것을 봤다”며 “경찰은 시위대의 측면에서 사격을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살상용 탄환이 아닌 줄 알았다”고 말했다.
카자흐스탄 검찰 대변인은 시위대를 “깡패”로 부르면서 엄단을 공언했다. 현지 검찰은 국영 석유회사 사무소와 정부 소유 건물이 불에 탔다고 주장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자나오젠 지역에 대한 인터넷 연결을 차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충돌이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의 철권통치에 어떤 영향을 줄지도 관심을 끌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1989년 카자흐스탄 공산당 제1서기가 돼 1인자로 부상한 그는 2년 뒤 나라가 독립하면서 대통령으로 이름을 바꾸고 계속 집권해왔다. 카자흐스탄 비정부기구 쪽에서는 경제 수도인 알마티에서 200여명이 동조 집회를 열었고 자나오젠이 속한 주의 주도인 악타우에서도 150여명이 시위에 나섰다가 체포됐다고 주장해, 사태가 확산될 가능성도 적잖다.
이본영 기자 eb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디도스 수사발표문, 조현오 청장실서 막판에 고쳐”
■ [한겨레21 단독]“청와대 지시로 디도스 금전거래 덮었다”
■ 노무현 수사 이인규 “저승 가 노통에게 빚 갚으라 따질 것”
■ 네덜란드 가톨릭교회서 수만명 ‘도가니’ 충격
■ ‘일본군 위안부’ 아픈 역사 교과서 집필기준서 뺀 한국
■ [한겨레21 단독]“청와대 지시로 디도스 금전거래 덮었다”
■ 노무현 수사 이인규 “저승 가 노통에게 빚 갚으라 따질 것”
■ 네덜란드 가톨릭교회서 수만명 ‘도가니’ 충격
■ ‘일본군 위안부’ 아픈 역사 교과서 집필기준서 뺀 한국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