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점 공급 횡포’ 중 견제용 기대
정제과정서 방사성 물질 우려에
주민 등 ‘허가 백지화 요구’ 반발
정제과정서 방사성 물질 우려에
주민 등 ‘허가 백지화 요구’ 반발
희토류의 중국 독점현상을 타파할 수단으로 기대를 모았던 말레이시아의 희토류 제련공장이 지역민과 야당의 반대로 기약 없이 가동이 지연되고 있다. 미국·일본·유럽 등이 중국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는 등 희토류 문제가 전세계 자원업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21일 오스트레일리아 광산회사 라이너스가 건설중이던 희토류 공장이 방사성물질 폐기물 논란으로 연내 완공이 힘들게 됐다고 보도했다. 말레이시아 콴탄 지역에 건설중인 이 공장은 미국의 캘리포니아 사막에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와 함께 중국 독점에 제동을 걸 2대 희토류 대형 프로젝트로 손꼽혀 왔다.
말레이시아 국민들이 들고 일어선 것은 희토류 정제 과정에서 방사성물질이 나오기 때문이다. 야당과 시민단체들은 우선 공장 건설을 중단하고 공장건설 허가 문제부터 재심의하자고 나서고 있다. 이미 콴탄과 쿠알라룸푸르 등에서는 수천명이 모여 공장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올해 말 총선을 의식한 정부는 야당까지 참여한 위원회를 꾸려 이 사태를 논의하자고 나섰지만 야당은 공장 건설을 정당화하려는 수단일 뿐이라며 참여를 거부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또 핵심부품의 주문이 늦어져 어차피 사실상 올해 안에는 공장 가동이 불가능하다는 익명의 내부 기술자의 폭로도 함께 전했다. 이 공장은 애초 지난해 11월 가동 예정이었지만 올해 2분기로 완공이 늦춰진 상태다.
희토류는 휴대전화와 태양광발전 등 최첨단 제품에 필수적인 자원으로, 중국이 전세계 공급량의 97%를 차지하며 사실상의 독점권을 행사하고 있다. 중국은 희토류 수출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고 수출량을 제한하는 등의 조처를 시행하고 있고, 선진국들은 이를 맹렬히 비판하고 있다. 오는 2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미국·유럽 대표단이 모여 희토류의 재활용과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형섭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이것이 봄날의 스트레칭이다람쥐~
■ [단독] 선관위, 홍준표의원 검찰에 수사의뢰
■ 진중권 “진보진영 도덕성, 새누리와 구별안돼”
■ 가격 낮춘 ‘쉐보레 캡티바’ 직접 타보니…
■ 링컨보더 먼저 노예해방한 한국인
■ 이것이 봄날의 스트레칭이다람쥐~
■ [단독] 선관위, 홍준표의원 검찰에 수사의뢰
■ 진중권 “진보진영 도덕성, 새누리와 구별안돼”
■ 가격 낮춘 ‘쉐보레 캡티바’ 직접 타보니…
■ 링컨보더 먼저 노예해방한 한국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