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기반 정당 “일자리 뺏겨”
의원 19명·장관 6명 등 탈퇴
의원 19명·장관 6명 등 탈퇴
인도 정부의 외국 대형마트(SSM) 진입 허용에 반발해 트리나물의회당(TMC)이 연정에서 탈퇴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19일 보도했다. 트리나물의회당의 근거지인 웨스트벵골주의 마마타 바네르지 주총리는 이날 “트리나물의회당 소속 의원 19명은 더이상 집권 연합정당인 통일진보연합(UPA)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며 6명의 장관도 사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도 정부는 이달 초 경제개혁 조처로 월마트, 카르푸르, 테스코 등 외국계 대형마트가 국내에 진입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디젤 가격을 14% 올리겠다고 발표했다. 주로 중하위 계층이 몰려 있는 웨스트벵골주에 기반을 둔 트리나물의회당은 서민들의 일자리를 빼앗길 우려가 있다며 이에 격렬하게 반대해왔다.
만모한 싱 총리는 유럽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휘청거리는 인도 경제를 살려야 한다며 외국인직접투자법(FDI) 규제를 완화해왔다. 올해 1월엔 단일 브랜드 소매업의 외국인 직접투자를 허용하기로 결정했고, 이번엔 월마트 같은 복합브랜드 소매업에도 유통시장을 개방한 것이다. 다만 인도 정부는 외국인 투자 확대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인구 100만명 이상의 도시에서만 입점이 가능하고 △최소한 1억달러 이상을 투자해야 하며 △인도에서 생산된 제품이 판매 목록에서 30% 이상 차지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또한 외국계 마트 입점도 주정부 차원에서 허가를 내주도록 했다. 델리, 아삼 등 여당 의회당이 이끄는 9개 주에선 월마트 등이 들어올 가능성이 높지만, 다른 지역에선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럼에도 외국계 대형 유통마트들은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인도에 군침을 삼키고 있다. 월마트는 그동안 외국인 직접투자법의 규제 때문에 인도 시장 진출이 가로막히자, 지난해 인도 현지 기업인 바르티 엔터프라이즈와 50 대 50의 지분으로 합작회사를 꾸려 ‘바르티 월마트’를 탄생시켰다. 당시 인도 언론에선 “월마트가 발뒤꿈치를 들고 몰래 들어오려 한다”는 비판적인 평가가 나왔다.
트리나물의회당이 탈퇴했지만 통일진보연합은 다른 연정 파트너들과 함께 543석 중 과반을 확보하고 있다. 여당인 의회당은 “우리는 아직 건재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정당들도 규제 완화에 비판적이어서 인도 정부로선 안심할 만한 상황이 아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LG ‘회장님폰’의 승부수…“스마트폰 판 뒤집겠다”
■ 19세기 고전 ‘소돔의 120일’이 음란물?
■ ‘조건만남’ 아저씨들은 제가 미성년자인거 알아요
■ “얼음없는 여름 북극 4년안에 볼수도”
■ 일본과 전쟁불사론까지…호전화하는 ‘중국굴기’
■ KBS·MBC ‘박근혜 감싸기’ 나섰나
■ [화보] 안철수 원장, 대선 출마 선언
■ LG ‘회장님폰’의 승부수…“스마트폰 판 뒤집겠다”
■ 19세기 고전 ‘소돔의 120일’이 음란물?
■ ‘조건만남’ 아저씨들은 제가 미성년자인거 알아요
■ “얼음없는 여름 북극 4년안에 볼수도”
■ 일본과 전쟁불사론까지…호전화하는 ‘중국굴기’
■ KBS·MBC ‘박근혜 감싸기’ 나섰나
■ [화보] 안철수 원장, 대선 출마 선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