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을 한 군인들이 14일 오후(현지시각) 캄보디아 프놈펜 남부의 의류·봉제공단인 카나디아 공단에서 지나가는 노동자들을 감시하고 있다. 프놈펜/김명진 <한겨레21> 기자 littleprince@hani.co.kr
[‘한국 기업’ 노동자 유혈 사태] 프놈펜 현장을 가다
의류공단 안 폭풍전야 긴장감
건물엔 깨진 유리·총알 박혀
노동자 90% 파업 뒤 도피
인력난에 임금 100달러로 올라 프놈펜공항에서 도심으로 들어가는 길에 탄 택시 기사도 ‘유혈사태’를 알고 있었다. 30대로 보이는 반낙은 “한국 사람들이 유혈사태를 만들었다는 소문이 있다. 그래서 캄보디아 사람들이 많이 화가 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이 상황을 바꾸기를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의 시민단체들도 한국 기업과 대사관이 군부대 투입을 요청했다며 규탄하는 집회를 지난 10일 서울에서 열었다. 유혈사태가 일어났던 카나디아 공단으로 가는 비포장도로는 원단과 옷을 싣고 오가는 차량과 오토바이들로 가득했다. 영어를 잘 못 알아듣던 ‘툭툭’(오토바이 택시) 기사 새론(32)은 기자가 한쪽 눈을 감고 총을 만들어 쏘는 시늉을 하고서야 “팩토리(공장)?”라며 오토바이 가속페달을 밟았다. 한국과 중국, 대만, 일본 기업들이 주로 입주해 있는 카나디아 공단은 도로를 경계로 둘로 나뉜다. 길 양쪽으로 각각 50여개의 의류·봉제공장이 들어서 있다. 공단으로 들어가면서 왼쪽은 오른쪽보다 공장들의 규모가 더 컸다. 보통 노동자 1200명 규모의 공장이지만 가장 큰 규모의 공장은 1500명 가까이 고용하고 있다. 오른쪽은 주로 800여명 규모의 공장들이 모여 있다. 유혈사태가 발생한 곳은 카나디아 공단 들머리 부근의 벵스렝 대로다. 벵스렝 대로 주변에서 식료품가게를 운영하는 창(42)은 “노동자들이 모여 마이크로 임금을 올려달라며 시위를 했다. 당시에 군인들이 엄청나게 많이 몰려들었고 총소리가 났다. 군인들이 사람들을 때려서 피를 흘리며 병원으로 이송된 사람도 있었다”고 말했다.
캄보디아 봉제노동자 파업을 선동했다는 혐의로 체포영장이 발부돼 법원 심리를 마친 통합야당(CNRP) 삼 랭시 대표(마이크 든 이)와 켐 소카 부대표(박수 치는 이)가 14일 오후(현지시각) 캄보디아 프놈펜시 법원 앞에서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프놈펜/김명진 <한겨레21> 기자 littleprince@hani.co.kr
파업 묻자 노동자들 굳은 표정
“리틀 머니” 한마디만 반복 김씨는 “8일부터 다시 공장이 정상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파업 때문에 내내 공장을 못 돌리고 애를 먹었다. 노동자들이 임금을 80달러에서 160달러로 올려달라고 한다. 그렇게 된다면 공장 하는 사람 다 나갈 거다. 60달러 하는 임금을 5달러, 10달러씩 올려서 여기까지 온 건데 그마저도 빠듯한 형편이다.” 노동자들은 모두 입을 닫아걸었다. 그 누구도 파업에 대해 말하려 하지 않았다. 여성 노동자들은 취재진이 질문을 던질 때마다 수줍게 웃다가도, ‘파업’을 언급하면 표정이 굳어졌다. 애나(24)는 조금 달랐다. “리틀 머니…”라는 말을 조용히 반복했다. 그러다가도 “그 이상은 얘기를 더 해줄 수 없다”며 입을 닫아버렸다. 이날 프놈펜 도심의 법원 주변에는 수천명의 노동자들과 야당 지지자들이 모여들었다. 유혈사태로 번진 캄보디아 봉제노동자 파업을 선동했다는 혐의로 체포영장이 발부된 통합야당(CNRP)의 삼 랭시 대표와 켐 소카 부대표가 법원에 출석했다. 이들은 훈 센 총리 퇴진을 촉구했다. 민주주의와 자유도 거듭 한목소리로 외쳤다. 프놈펜(캄보디아)/이재욱 기자 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