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인 부부의 아이를 인공수정을 통해 대리모 출산한 타이 여성 파타라몬 짠부아가 3일 타이 남동부 촌부리의 한 병원에서 다운증후군인 아들을 안고 있다. 촌부리/AP 연합뉴스
NYT “농촌마을 1만여명중 24명 지원”
‘성공보수 1만달러’ 경제적 요인 커
윤리적 논란에 정부 금지법안 추진
‘성공보수 1만달러’ 경제적 요인 커
윤리적 논란에 정부 금지법안 추진
개인적 선택의 문제인가? 윤리의 문제인가?
<뉴욕 타임스>는 26일 타이 북부 팍옥 지역 르포를 통해 타이의 대리모 사업이 도덕적 수렁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가난 때문에 1만달러의 보상이 따르는 대리모 출산 열풍이 타이의 농촌에 불었지만, 대리모가 출산한 장애아 입양 거부나 여러 명의 대리모를 통해 한꺼번에 많은 아이를 낳는 등 윤리적 논란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타이 군사정부도 문제가 커지자 상업적 형태의 대리모 출산을 금지하는 법률을 만들 예정이다.
인도와 함께 아시아에서 대리모 출산이 허용된 타이의 대리모 사업 번창은 경제적 요인과 맞물려 있다. 신문은 방콕에서 자동차로 6시간 떨어진 북부 팍옥 농촌 마을의 경우 인구 1만3000명 가운데 최소 24명이 대리모로 나섰다고 전했다. 대리모로 아이를 출산하면 성공 보수로 1만달러를 받고, 단순히 난자만 제공해도 1000달러는 손에 쥘 수 있다. 신문은 “처음에 한 여성이 대리모 출산으로 차를 바꾸고 집을 새 단장하자 너도 나도 뛰어들었다”고 보도했다. 이런 식으로 외국의 생물학적 부모를 위해 대리모가 낳은 아이는 연간 수백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지난달 오스트레일리아 부부가 대리모를 통해 낳은 장애 아들 입양을 거부하고, 최근에는 한 일본인 남성이 대리모를 통해 십여명의 아이를 수주나 수개월 간격으로 출산시킨 일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커졌다. 타이에서는 “타이가 아시아의 자궁이냐”라는 개탄의 목소리가 나오고, 의료 관계자들은 “사람들이 생명보다는 돈을 우위에 놓고 있다”고 탄식하고 있다.
타이 경찰은 최근 대리모 출산 병원을 급습하고, 단속을 강화하면서 일부 대리모들이 잠적하기도 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현재까지 이뤄진 대리모 임신이나 출산을 위해 과도 규정을 둬야 한다고 타이 정부에 요청하고 있다.
타이 정부가 상업적 대리모 출산을 제도적으로 금지해도 음성적으로 계속 이뤄질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성공 보수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팍옥 지역의 한 주민은 “대리모가 무엇이 문제냐? 아이를 갖고 싶은 부모의 심정을 이해한다”고 말했다.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