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열 안거친 외국통신사 자격 박탈”
<신화통신>을 비롯해 중국 관영 매체들이 지난 10일 핀란드에서 열린 노무현 대통령과 원자바오 중국 총리의 정상회담 소식을 전하면서 동북공정과 관련된 대화 내용을 일절 다루지 않고 있다. 중국 관영 매체들은 2004년 8월 한국과 중국의 이른바 ‘구두합의’ 이후 동북공정 문제를 기사화하지 않고 있으나, 이번 대화가 정상 간에 오간 것이라는 점에서 새삼 눈길을 끈다.
<신화통신>은 두 나라 정상이 한반도 정세에 관해 의견을 나누고, 양국관계를 계속 발전시키기로 합의했다는 등 비교적 충실하게 회담 내용을 보도했지만, 동북공정과 관련된 노 대통령의 유감 표명과 이에 대한 원 총리의 답변은 언급하지 않았다. 원 총리는 당시 회담에서 “양국 간 합의사항을 존중한다”며 “정부 차원에서 필요한 조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중국의 다른 관영매체들도 이런 내용을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다.
<신화통신>은 앞서 10일 배포한 발표문에서 자신의 검열을 거치지 않고 중국에 뉴스를 제공하는 외국 통신사에 대해선 자격을 박탈하겠다고 경고했다. 통신은 △중국의 경제질서를 흐리고 △사회안정을 좀먹거나 △국가의 단결과 영토의 통합을 해치는 뉴스를 제공하는 외국 통신사에 대해선 경고, 콘텐츠 제공 중단, 뉴스 공급자격 박탈 등의 조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화통신은 외국 통신사에 선별된 뉴스만을 공급하고 있다.
최근 중국에선 금융산업 종사자들과 이중국적자, 외국인들을 중심으로 외국 통신사의 뉴스를 직접 공급받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심지어 일부 중국 인터넷 사이트들도 이런 뉴스를 공급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최근 구글과 야후 등 인터넷 검색업체에 대한 통제를 강화한 바 있다.베이징/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