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소수민족과 관련한 돌발 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민족관계 감시(모니터링)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중국 언론들이 30일 보도했다.
중국 국무원은 29일 “민족의 단결과 사회 안정, 국가 안전을 수호하기 위해 분열주의를 단호하게 근절해야 한다”며 이런 내용의 ‘소수민족 사업 11·5 규획(계획)’을 발표했다. 중국 정부가 ‘국민 경제와 사회 발전을 위한 11·5 규획’(2006~2010년)과 별도로 소수민족 규획을 밝히기는 처음이다.
다이주브 옹보인 국무원 민족사무위원회 부주임은 이날 “민족 사이의 언어·문화·종교적 차이와 경제적 이익을 둘러싼 갈등으로 인해 모순과 다툼이 생길 수 있다”며 “민족적 원인으로 일어날 수 있는 돌발 사태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신장 및 시짱자치구(티베트) 등에서 분리주의가 거세지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신장 일대에서는 1933년 동투르키스탄을 세웠던 동투르크족을 중심으로 지금도 산발적인 무장투쟁이 일어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와 함께 소수민족 지역의 경제와 복지를 발전시켜 민족문제가 불거지는 것을 막을 계획이다. 규획은 2010년까지 이들 지역의 가처분소득을 중국 전체 평균보다 1%포인트 높이고, 9년제 의무교육을 95% 이상 실시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선구이핑 중앙당교 교수는 <신경보>와 인터뷰에서 “최근 소수민족 지역과 다른 지역의 경제적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며 “경제적 낙후가 소수민족의 정서에 반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