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실질 GDP 증가율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성장률 물가 치솟자 추가 금리인상설 고개…대중 수출비중 커 부담
중국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치를 훨씬 웃돌면서 경기 과열을 막기 위한 금리 인상 등 긴축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금리가 인상되면 위안화 절상 속도가 빨라지고 중국 내 수요 위축을 가져와 한국 경제에도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경기 과열 우려 속에서도 중국 경제의 성장세는 당분간 꾸준히 이어질 것이란 전망에 좀 더 힘이 실린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9일 1분기 경제성장률이 지난해 4분기의 10.4%에 비해 0.7%포인트 높은 11.1%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이처럼 높게 나온 것은 무역흑자와 고정자산 투자가 여전히 빠른 속도로 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역흑자는 1분기에 464억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의 2배로 증가했다. 1분기 고정자산 투자도 모두 1조7526억위안에 이르러 23.7%나 증가했다.
소비자 물가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3월 물가상승률은 3.3%로 2005년 2월 3.9% 이후 최고치이다. 올해 억제 목표선인 3%를 훌쩍 넘어선 것이다. 지난해 곡물가격 상승 요인이 뒤늦게 반영된 것이지만, 인플레이션 우려를 제기할 만한 수준이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가 이달 중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이 고개를 들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이 경기 과열을 누그러뜨리려고 올해 적어도 두 차례 금리를 인상하고, 한 차례 이상 지급준비율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고 20일 보도했다. 중국은 올 들어 이미 세 차례 지급준비율을 올렸다. 지난달엔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한 바 있다. 고유선 대우증권 거시경제팀장은 “만일 예금금리를 더 올린다면 시중 자금을 끌어들이는 효과를 가져와 좀 더 강력한 긴축 신호를 줄 것”이라 말했다. 송태정 엘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 정부가 긴축 정책을 강화하면 중국 수출 비중이 큰 우리 경제도 영향을 피할 수는 없을 것”이라 내다봤다.
중국 정부의 긴축 정책엔 분명한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20일 중국 경제가 ‘홍수 속의 큰 강’처럼 멈추지 않는 추진력이 있다며, 중국의 실질적인 과제는 경제 성장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만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베이징사무소장은 “중국은 매년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하는 1400만 명에게 일자리를 만들어줘야 할 상황”이라며 “투자가 과열된 일부 부문을 중심으로 미시적 조정은 있을지 몰라도, 정부 자신도 말로만 긴축을 외칠 뿐 실제로 강도 높은 행동을 보여주긴 힘들다”고 말했다. 김석진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가운데 대부분은 중국 안에서 조립 과정을 거쳐 미국과 유럽에 재수출되는 품목”이라며, “금융시장의 조정 과정에 다소 영향을 끼칠지는 몰라도 국내 수출 경기와는 별 상관이 없을 것”이라 말했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최우성 기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