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거부 등 조직적 움직임…권리의식 향상 탓
중국에서 거침없이 진행되던 도심 재개발 사업이 주민들의 반발에 부닥쳐 잇따라 좌초하고 있다.
자기부상열차 건설이나 공장 건설 등 국책성 사업도 주민들의 민원에 시달리고 있다. 정부의 일이라면 군말 없이 따르던 것은 옛날 얘기다. 중국에서도 이른바 중산층 파워가 성장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저장성 성저우에선 11일 주민 3만여명이 4층 건물을 강제 철거하려는 당국에 맞서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21일 전했다.
경찰의 과잉진압에 흥분한 시위대는 경찰차 4대를 뒤집어 엎기도 했다. 이날 시위는 오후 2시부터 다음날 새벽 4시까지 계속됐다. 성저우시 관계자는 “현장에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몰려 철거 계획을 포기했다”고 말했다.
베이징 최대의 재개발 사업도 주민 반대로 무산될 상황에 놓였다.
주셴차오 지역 주민들은 9일 개발업자들이 내건 보상 조건을 놓고 찬반투표를 해 철거에 반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날 투표에서 전체 주민의 55%가 반대표를 던졌다.
〈인민일보〉는 “베이징의 집값을 고려하면 철거보상비로는 집을 마련할 수 없다”며 “재개발 사업 성사 여부가 불투명하다”고 전했다. 앞서 베이징 둥시바탸오에서도 주민들 반대로 철거가 미뤄진 바 있다.
중국이 국책사업으로 추진하던 상하이~항저우 자기부상열차 사업도 민원에 밀려 중단됐다. 이달 초 푸젠성 샤먼에선 주민 수천명이 화학공장 건설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대체로 당국에 순응해오던 도시 주민들이 부를 축적하면서 권리의식도 높아지고 있다.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의 중국 연구자인 니콜러스 베켈린은 〈파이낸셜타임스〉에서 “재산을 가진 중국인들이 재산을 지키려고 노력하기 시작했다”며, 중국에서도 중산층 파워가 성장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