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유강문 특파원
특파원리포트
특정후보 지지 모임 결성
한국상회 회장 참여 ‘입길’
“회장직 불신임” 목소리도 “경제를 확실히 살릴 후보를 대통령으로.” 지난달 29일 중국 베이징에선 이명박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를 지지하는 모임이 결성됐다. 이날 모임에 참석한 100여명은 “절박하고 결연한 심정으로” 이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그들은 △경제를 살리고 △조국통일의 초석을 다져 △대한민국을 선진강국으로 만들 수 있는 대통령감으로 이 후보를 지목했다. 이번 대선 들어 중국 동포들이 특정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기는 처음이다. 중국 동포 사회도 대선이 닥치면 정치 바람을 피하지 못한다. 2002년 대선 땐 노무현 후보와 이회창 후보를 놓고 동포 사회가 양분되다시피 했다. 노 후보를 지지하는 이른바 ‘노사모’들은 유학생들이 많이 사는 우다오커우에서 연일 토론회를 열었고, 이 후보를 지지하는 이들은 동포들이 몰려 사는 왕징에서 은근히 세를 모았다. 노 후보가 대통령이 되던 날 우다오커우 주변 술집에선 노사모의 축배가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이명박 후보 지지 모임은 당시 노사모 못지않다. 톈진과 상하이, 홍콩 등 지역별로 회장을 두는 등 촘촘한 조직망을 갖췄다. 한국에 있는 가족과 친지에게 전화를 걸어 이 후보 지지를 권유하는 ‘1+1 운동’을 펼치고, 투표날엔 집단으로 한국행 비행기를 타기로 했다. 베이징에선 투표날 이틀 전 전세기를 띄우는 방안까지 검토했으나, 전세기 예약 문제로 난감해하고 있다는 소리도 들린다. 이들의 대선 참여 선언에 동포 사회는 대체로 차분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개인의 정치적 신념에 따른 행동에 가타부타할 게 없다는 투다. 다만 중국 주재 한국 기업들의 모임인 한국상회의 현직 회장이 이명박 후보 지지모임에 참가해, 한국상회 전체의 의사로 비칠 것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있다. 한국 민간단체로선 유일하게 중국 정부의 비준을 받은 한국상회는 삼성과 엘지, 현대차 등 대기업을 비롯해 4천여 한국 기업들을 대표한다. 한 회원은 “다음달 총회에서 회장을 불신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고 말했다. 이명박 후보 지지 모임이 중국판 고대 동문회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있다. 공동회장으로 이름을 올린 구천서 전 의원과 상임고문인 김기재 전 장관을 비롯해 사무국장이 모두 고대 출신이기 때문이다. 베이징의 한 고대 동문은 “동문회 몇몇 간부들이 이번 모임을 3개월 전부터 적극적으로 준비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고대 동문회는 최근 재중국 전국연합회를 결성하는 등 결속력을 과시하고 있다.
중국 동포들은 이번 대선을 앞두고 ‘재외국민 참정권 운동’을 펼쳤다. 동포들에게도 대선에 투표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는 것이었다. 이번 모임엔 거기에 참여했던 이들이 적지 않다. 참정권 운동을 펼쳤던 한인회 한 간부는 “국민의 기본권을 되찾기 위한 재외국민 참정권 운동이 마치 특정 후보를 염두에 뒀던 것처럼 비칠까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한국상회 회장 참여 ‘입길’
“회장직 불신임” 목소리도 “경제를 확실히 살릴 후보를 대통령으로.” 지난달 29일 중국 베이징에선 이명박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를 지지하는 모임이 결성됐다. 이날 모임에 참석한 100여명은 “절박하고 결연한 심정으로” 이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그들은 △경제를 살리고 △조국통일의 초석을 다져 △대한민국을 선진강국으로 만들 수 있는 대통령감으로 이 후보를 지목했다. 이번 대선 들어 중국 동포들이 특정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기는 처음이다. 중국 동포 사회도 대선이 닥치면 정치 바람을 피하지 못한다. 2002년 대선 땐 노무현 후보와 이회창 후보를 놓고 동포 사회가 양분되다시피 했다. 노 후보를 지지하는 이른바 ‘노사모’들은 유학생들이 많이 사는 우다오커우에서 연일 토론회를 열었고, 이 후보를 지지하는 이들은 동포들이 몰려 사는 왕징에서 은근히 세를 모았다. 노 후보가 대통령이 되던 날 우다오커우 주변 술집에선 노사모의 축배가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이명박 후보 지지 모임은 당시 노사모 못지않다. 톈진과 상하이, 홍콩 등 지역별로 회장을 두는 등 촘촘한 조직망을 갖췄다. 한국에 있는 가족과 친지에게 전화를 걸어 이 후보 지지를 권유하는 ‘1+1 운동’을 펼치고, 투표날엔 집단으로 한국행 비행기를 타기로 했다. 베이징에선 투표날 이틀 전 전세기를 띄우는 방안까지 검토했으나, 전세기 예약 문제로 난감해하고 있다는 소리도 들린다. 이들의 대선 참여 선언에 동포 사회는 대체로 차분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개인의 정치적 신념에 따른 행동에 가타부타할 게 없다는 투다. 다만 중국 주재 한국 기업들의 모임인 한국상회의 현직 회장이 이명박 후보 지지모임에 참가해, 한국상회 전체의 의사로 비칠 것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있다. 한국 민간단체로선 유일하게 중국 정부의 비준을 받은 한국상회는 삼성과 엘지, 현대차 등 대기업을 비롯해 4천여 한국 기업들을 대표한다. 한 회원은 “다음달 총회에서 회장을 불신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고 말했다. 이명박 후보 지지 모임이 중국판 고대 동문회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있다. 공동회장으로 이름을 올린 구천서 전 의원과 상임고문인 김기재 전 장관을 비롯해 사무국장이 모두 고대 출신이기 때문이다. 베이징의 한 고대 동문은 “동문회 몇몇 간부들이 이번 모임을 3개월 전부터 적극적으로 준비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고대 동문회는 최근 재중국 전국연합회를 결성하는 등 결속력을 과시하고 있다.
중국 동포들은 이번 대선을 앞두고 ‘재외국민 참정권 운동’을 펼쳤다. 동포들에게도 대선에 투표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는 것이었다. 이번 모임엔 거기에 참여했던 이들이 적지 않다. 참정권 운동을 펼쳤던 한인회 한 간부는 “국민의 기본권을 되찾기 위한 재외국민 참정권 운동이 마치 특정 후보를 염두에 뒀던 것처럼 비칠까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