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사이트 차단 프로그램 의무화
“인터넷 통제 강화위한 조치” 비난
“인터넷 통제 강화위한 조치” 비난
중국 정부가 다음달 1일부터 중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개인용 컴퓨터(PC)에 특정 웹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소프트웨어 설치를 의무화할 방침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넷판이 8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피시업체는 관련 소프트웨어를 하드디스크에 미리 설치하거나 시디(CD)에 저장해 고객에게 제공해야 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진후이 컴퓨터 시스템 엔지니어링’이 개발한 이 소프트웨어는 피시와 접속이 금지된 인터넷 사이트를 바로 차단한다.
중국 정부는 이런 방침이 ‘유해한 콘텐츠’로부터 젊은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인터넷 통제를 한층 강화하기 위한 조처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미 ‘황금방패’로 불리는 광범위한 인터넷 감시 시스템을 통해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이트 등을 차단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중국의 이런 방침에 우려를 표명했다. 수전 스티븐슨 중국 주재 미국대사관 대변인은 “우리는 새 규정이 끼칠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관련 규정을 살펴보고 있다”며 “우리는 정보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제한하는 어떠한 시도도 크게 우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선 새 소프트웨어가 피시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며, 해킹에도 취약하게 만들 것이라는 우려도 번지고 있다. 이에 따라 피시업체들은 중국 정부의 새 규정을 거부하든지, 아니면 중국 정부의 인터넷 검열에 동조하든지 양자택일을 해야 하는 처지에 몰릴 수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그러나 피시업체들이 중국 시장을 포기하기란 쉽지 않다. 중국에서는 지난해 무려 4천만대에 이르는 피시가 판매됐다. 몇몇 외국 업체들은 중국 시장에 진출하거나 영업을 확대하기 위해 중국 정부의 검열을 돕거나 이에 동참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