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외무회담 중국 반응
중 정부 “평화·안정 위협 반대” 또 강조
관영언론은 “한반도 안보 정세 복잡해져 ”
중 정부 “평화·안정 위협 반대” 또 강조
관영언론은 “한반도 안보 정세 복잡해져 ”
한·미·일 3국이 외교장관 회담을 통해 중국에 북한을 압박하도록 강하게 요구했지만, 중국 정부는 안정 유지와 대화를 통한 해법을 강조하며 신중한 태도를 고수했다. 하지만 중국 전문가들과 관영언론은 이번 회담이 한반도 주변의 냉전구도를 부활시킬 것이라며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
장위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동북아에서 평화를 유지할 책임은 해당 지역의 모든 국가에 있다”면서 “대화와 협력을 통한 해결이 관련국들의 이익에 부합하며, 중국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어떤 행위에도 반대하고 누구의 편도 들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장 대변인의 답변은 한·중·일 외교장관들이 중국의 역할을 촉구한 데 대한 간접적인 답변으로 해석된다.
외교부 산하 중국국제문제연구소의 양시위 연구원은 <중국인민라디오방송>에 이번 회담은 “한·미·일이 3각 정치군사동맹을 이뤄가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동북아 안보정세를 더 복잡하게 만들고 냉전구조가 되살아나게 만들고 있다”며 “긴장 상태인 한반도 정세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6자회담 재개에 매우 나쁜 작용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뤼차오 랴오닝성사회과학원 연구원은 <환구시보>에 “미국이 한국과 일본을 끌어들여 회담을 한 것은 미국이 동북아 정세를 교란하면서 손을 떼지 않겠다는 뜻을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한·미·일 3국이 중국 역할론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는 상황에서, 부담과 우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 문제를 둘러싼 대립으로 미-중 관계가 악화되고, 내년 1월로 다가온 후진타오 국가주석의 미국 방문이 영향을 받게 되는 상황도 고민이다. 하지만 현재 구도에서 중국이 단기간 안에 대북정책을 전환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후진타오 주석이 6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전화협의에서 미국의 압박에도 냉정과 자제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역설한 것도 이런 분석을 뒷받침한다.
베이징의 외교소식통은 “최근 한-미·미-일 군사훈련 등에 대한 중국의 비난수위를 보면 천안함 사건 이후에 비해 훨씬 절제돼 있다”며 “이번 상황은 중국에게도 훨씬 복잡한 사안이며 중국이 대북정책에 변화를 주더라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