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라 엇갈린 반응
미 ‘국면전환용’ 평가…시큰둥한 태도
중, 관영언론들 ‘북 제의’ 주요뉴스 보도
미 ‘국면전환용’ 평가…시큰둥한 태도
중, 관영언론들 ‘북 제의’ 주요뉴스 보도
북한이 남북 당국간 무조건 회담을 제의한 것을 두고 미국과 중국이 확연히 다른 반응을 내놨다.
필립 크라울리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5일(현지시각)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과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의 워싱턴 회담 뒤 브리핑에서 “우리는 대화에 열려 있다. 하지만 우리가 협상을 약속하기 이전에 북한은 지속가능하고 진지한 대화를 할 준비가 돼 있다는 점을 보여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 쪽은 이날 회담에서 “우선 (북한이) 제안의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며, 북한의 추가도발 중지와 2005년 9·19 공동성명 이행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중국 쪽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제안이 핵 포기 의사보다는 국면전환용이라고 보는 미국으로선 북한 전략에 말려들지 않겠다는 ‘선 긋기’를 한 셈이다.
크라울리 차관보는 이날 회담에서 한반도 문제가 “매우 자세히” 장시간 거론됐다고 전해, 오는 19일로 예정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문제가 주요 의제가 될 것임을 예고했다. 그는 “미국과 중국은 역내 안정이라는 같은 목표를 지니고 있으며, 남북간 대화, 6자회담 맥락에서의 협상 재개 등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며 “두 나라는 모두 긴장완화를 원하고, 어느 누구도 북한이 핵보유국으로 등장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반면 중국 정부는 북한의 남북대화 제의를 지지하고 환영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 제안에 대해 “우리는 관련국들이 접촉하고 대화하는 것을 지지하고 환영한다”며 “관련국들의 공동 노력으로 하루빨리 6자회담을 재개하고 9·19 공동성명의 목표를 실천해 가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신화통신>과 <인민일보> 등 관영언론을 통해 북한의 제의를 주요 뉴스로 보도하며, 북한의 대화 의지에 의미를 부여했다.
중국을 방문한 스티븐 보즈워스 미국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6일 베이징에서 중국의 우다웨이 한반도사무특별대표, 장즈쥔 외교부 부부장, 왕자루이 공산당 대외연락부장과 잇따라 회담했다. 주중 미국대사관은 “보즈워스 대표는 중국 관리들과 북한 문제 해결의 진전을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 유익한 협상을 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양쪽이 “한반도의 평화·안정 유지와 6자회담 진전을 위해 계속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워싱턴 베이징/권태호 박민희 특파원
h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정동기 7억’ 논란에 청와대 “문제없다”
■ 한국이 중국에 조선 1등을 뺏기지 않을 이유
■ ‘스마트폰 0.1㎜ 승부’
■ 여, ‘위헌’ 전기통신법 똑닮은 대체법 내놔
■ 구제역 고통 와중에…롯데마트, 미국산 갈비 ‘통큰 세일’
■ ‘오빠 믿지’ 앱 개발자 등 입건
■ 화내면 진다? 이기기도 한다
■ 한국이 중국에 조선 1등을 뺏기지 않을 이유
■ ‘스마트폰 0.1㎜ 승부’
■ 여, ‘위헌’ 전기통신법 똑닮은 대체법 내놔
■ 구제역 고통 와중에…롯데마트, 미국산 갈비 ‘통큰 세일’
■ ‘오빠 믿지’ 앱 개발자 등 입건
■ 화내면 진다? 이기기도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