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서해 상에서 불법조업을 단속하던 인천해양경비안전본부 소속 고속단정이 중국어선과 충돌해 침몰했다. 사진은 지난 4월 서해 상에서 중국어선을 단속하는 고속단정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 7일 중국 어선이 한국 해경정을 충돌해 침몰시킨 사건과 관련해 한국 정부가 필요시 선체충격 및 함포 사격 등을 통한 대응을 선언하자, 중국 <환구시보>가 막말성 맹비난을 퍼부었다.
이 신문은 12일 ‘중국 어선에 포격을 허가한다니 한국 정부 미쳤나’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한국 여론의 격동과 한국 정부의 발포 허가령을 보니, 나라 위아래 모두가 민족주의 집단발작을 보이고 있다”며 “한국 쪽 얘기대로라면 중국 어선이 명백히 책임이 있고 당연히 상응하는 처벌을 받아야 하지만, 조사에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한국 쪽은 필요한 만큼의 인내력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설은 최근 한국 매체들이 중국 어민을 ‘세계의 공적’, ‘해적과 다를 바 없다’고 표현하고, 전쟁을 방불케 하는 표현을 쓰고 있는 데에도 유감을 나타내고 “한국이 군함만 갖고 있으니 다행이다. 항공모함이나 원자탄이 있었다면 이를 중국 어민에게 사용했을 것”이라고 비꼬기도 했다.
중국 당국은 공식적으로 자국 어민들이 세계 각지 해역에서 불법 조업을 하는 데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 사설도 “황해에 고기를 잡으러 간 건 때때로 경계를 넘어간 중국 어민들이지 군대가 아니며, 그들이 경계를 넘어가 조업을 할 때 중국 사회도 그들을 지지하지 않는다”, “중국이 해상 어업분쟁을 방임하지 않는다”며 한국 쪽에 자제를 촉구했다. 또 사설은 “그 어민들은 바다에서 하루하루 살아가는 사회적 약자”라며, 법치 관념이 약한 ‘일부 어민들의 소행’으로 돌리며 동정을 호소하기도 했다. 한국 쪽이 이들에게 매기는 벌금 등 중징계가 “이들이 필사적으로 저항하는 진정한 원인”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이 사설은 “한국 해경은 전세계에서 가장 흉악한 해상 행정기관 가운데 하나”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쉬바오캉 전 <인민일보> 기자는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여론이 격화하는 원인을 두고 “소국 심리상태”라고 분석하며 휘발성 강한 포퓰리즘, 한국의 대선 국면 등이 배경이라고 주장했다. 이 신문의 영문판인 <글로벌 타임스>는 한-중 해상 경계가 아직 협상중이라는 것을 지적하며, 두 나라가 공동순찰을 늘려야 한다는 중국 해양 전문가의 제안을 전하기도 했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