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 수도권 지역 발전을 천명한 지 3년 만에 이 지역의 총생산(GDP)이 전국 10%에 이르는 등 인구 1억명이 넘는 ‘거대도시 클러스터’가 가시화하고 있다고 관영매체가 보도했다.
중국의 경제기획을 관장하는 국무원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쉬사오스 주임(장관급)은 20일 보도된 관영 <차이나데일리> 인터뷰에서, “베이징·톈진·허베이성의 시너지 있는 발전과 통합 전략은 관련 도시들의 성장 효율 및 효과를 제고할 뿐 아니라 세계적인 도시 클러스터를 키워 보하이만(발해만) 일대 동력을 확보한다”고 말했다. 각 지역 약칭을 따 ‘징진지’로 불리는 베이징·톈진·허베이성 발전 전략은 2014년 2월 시진핑 주석이 발표한 것으로, 전국 균형발전 계획의 하나다.
징진지 개발의 핵심은 베이징이 거머쥐고 있는 각종 ‘중심’ 기능의 수도권 내 분산이다. 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베이징은 몸집과 체중을 줄여 지속가능한 길을 개척했다”고 평가했다. 베이징시 당국은 지난 3년간 일반 제조기업 1341곳을 퇴출시켰고, 상인 2만8천호가 톈진·허베이성으로 이전했다. 베이징 기업이 톈진·허베이성에 투자한 금액이 2015년 1642억위안(27조5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2.5배를 기록했는데, 2016년 다시 2039억위안(34조원, 계약기준)으로 뛰었다. 대신 베이징에는 로봇, 무인자동차, 의약품 등 과학기술 분야 혁신산업, 그리고 문화, 경제, 서비스업 분야를 유치하는 것이 징진지 발전의 목표다.
그러나 아직 한계도 엿보인다. 징진지 지역의 지난해 총생산(GDP)이 중국 전체의 10%까지 올랐다고 하지만, 창장(장강) 삼각주(24%)와는 거리가 멀다. 중국 내에서도 가장 심각한 이 지역의 스모그 문제도 매력을 저해하는 요소다.
중국 베이징 시내 아파트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한편, 중국 서부 내륙에 위치한 민간기업들은 연안 지대 인재들을 데려오기 위해 고액 급여와 건강보험 등 ‘기본 요건’ 외에도 주거 및 식사 지원, 자녀 교육기회 보장 등 각종 혜택을 채용 조건으로 내거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차이나데일리>가 보도했다. 중국 내 많은 기업이 노동력 등 원가 절감을 위해 연안 지역을 떠나 내륙으로 이전하고 있지만, 연안에 밀집한 노동력을 끌어오기 어려운 탓이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