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력 개입 선언’ 가능성은 높지 않아
중국 국방부가 ‘북한이 붕괴한다면’을 전제로 “모든 필요한 조처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그 배경이 주목된다.
런궈창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23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 붕괴에 대비한 중국군의 대응 계획이 있는지, 미국과 이에 대해 협상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미국 기자의 질문을 받고, “중국의 (한)반도 문제 정책은 일관됐다”며 △비핵화 △평화·안정 △대화·협상을 통한 해결 등 이른바 ‘한반도 3대 견지’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또 “현재 (한)반도 형세가 복잡하고 민감하므로, 관련 각국은 형세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는 행위를 삼가고, 함께 이 지역 평화·안정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영어 순차 통역으로 진행된 이날 브리핑에서, 런 대변인은 위 부분이 통역된 뒤 “중국 군대는 안보 환경의 요구에 따라 모든 필요한 조처를 취해 국가안보와 주권을 굳게 지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런 대변인은 ‘북한 붕괴’라는 질문의 표현 대신 ‘안보 환경의 요구’라는 표현으로 바꿔 썼지만, 맥락상 그가 말한 ‘필요한 조처’는 유사시 국경 수비 강화를 통한 상황 관리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기에 따라 적극적인 군사 개입, 곧 중국군의 북한 진입을 시사했다는 풀이도 나올 수 있다. 다만, 중국이 대변인 브리핑처럼 공개적인 자리에서 ‘무력 개입’을 선언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이밖에 런 대변인은 ‘김정남 피살 사건’ 뒤 북-중 국경 지역에 병력이 증강됐다는 최근 언론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한국 배치 시 대응방안을 묻자 “중국 군대는 필요한 준비를 할 것이며, 국가안보를 굳게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국방부는 누리집에 공개한 브리핑 기록 및 동영상에서, 북한 붕괴를 전제로 한 ‘필요한 조처’ 관련 발언 부분을 삭제했다. 중국 당국은 기자들과의 문답 내용이라고 해도 민감한 내용은 삭제한 뒤 공개하는 경우가 많다. 런 대변인은 지난해 2월 국방부 신문국 부국장에 임명됐으며, 대변인 직함으로 기자들 앞에 선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